연구보고서

내용
배경과 목적 양호한 청년고용률과 달리 쉬었음 청년급증은 청년일자리사업의 효과적 추진에 대한 재검토를 제기 따라서 연구는 사업현황과 연계방안 중심으로 분석
현황 충남 청년일자리 특징은 청년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미흡 청년남성과 격차 및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에 집중 이는 충남의 제조업 중심의 경제구조로 기인으로 해석
중앙 중앙정부 청년일자리사업은 고용노동부중소벤처사업부를 중심으로 직접일자리인턴 직업훈련 고용서비스와 창업지원 등을 추진 중이며 사업수행은 부처의 산하기관유관단체에서 대부분 진행
충남 충남 청년일자리사업은 청년정책관실과 산업경제실을 중심으로 창업지원 직접일자리 직업훈련 등 추진 중이며 사업수행은 지자체와 산하기관을 중심으로 진행 특히 사업내용 측면에서 스마트팜 등 농업 분야의 규모있는 지원이 특징적
사례 수행기관 사례를 통해 ①인턴채용 등 일자리문화의 미흡 ②사업추진뿐만 아니라 사업 구상시 거버넌스의 기관협력 필요 노정
정책제안 이와 같은 분석결과에 따라 ①충남청년 생활창업학교 인프라 조성 ②중앙정부 청년일자리사업 참여기관 통합선발 ③충남 청년일자리 거버넌스 구축을 제시 중장기 방안으로 ①일자리 인턴문화 확대 및 메뉴얼 개발 ②여성친화일자리 등 새로운 일자리 전략 추진 등을 제안
현황 충남 청년일자리 특징은 청년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미흡 청년남성과 격차 및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에 집중 이는 충남의 제조업 중심의 경제구조로 기인으로 해석
중앙 중앙정부 청년일자리사업은 고용노동부중소벤처사업부를 중심으로 직접일자리인턴 직업훈련 고용서비스와 창업지원 등을 추진 중이며 사업수행은 부처의 산하기관유관단체에서 대부분 진행
충남 충남 청년일자리사업은 청년정책관실과 산업경제실을 중심으로 창업지원 직접일자리 직업훈련 등 추진 중이며 사업수행은 지자체와 산하기관을 중심으로 진행 특히 사업내용 측면에서 스마트팜 등 농업 분야의 규모있는 지원이 특징적
사례 수행기관 사례를 통해 ①인턴채용 등 일자리문화의 미흡 ②사업추진뿐만 아니라 사업 구상시 거버넌스의 기관협력 필요 노정
정책제안 이와 같은 분석결과에 따라 ①충남청년 생활창업학교 인프라 조성 ②중앙정부 청년일자리사업 참여기관 통합선발 ③충남 청년일자리 거버넌스 구축을 제시 중장기 방안으로 ①일자리 인턴문화 확대 및 메뉴얼 개발 ②여성친화일자리 등 새로운 일자리 전략 추진 등을 제안
목차
1 연구목적 및 방법
2 청년일자리 현황
3 청년일자리정책 분석
4 일자리사업 사례분석
5 정책제언
2 청년일자리 현황
3 청년일자리정책 분석
4 일자리사업 사례분석
5 정책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박춘섭
충남 사회기술혁신포럼 (김종선,박춘섭) 2016. 02. 04
한중 사회적경제 국제세미나(쉬자량,루용빈,유충식,송두범,박춘섭) 2016. 04. 20
2017 한.중 사회경제 발전 국제 심포지엄(CNI세미나2017-173)(송두범,위안뤼쥔,팡시,쉬진,정경록,쉬자량,박춘섭,한익수,타이펑픙,이홍택,우뤼,위주청,홍원표) 2017. 12. 05
사회적경제 일자리전문가 간담회 2016. 07. 12
2016 사회적경제 아카데미 평가 컨퍼런스 2016. 12. 27
열린충남 82호 (2018년봄호) 2018. 0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