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대산석유화학단지 화학사고 대응전략 수립
현안

대산석유화학단지 화학사고 대응전략 수립

기간
2018. 05. 31 ~ 2018. 07. 30
연구책임자
조성
키워드
대산석유화학단지,화학사고,대피계획,주민전파,응급조치,화학물질,안전관리,협력체계
다운로드

최종_현안과제_서산시_대산석유화학단지 화학사고 대응전략 수립(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서산 대산석유화학단지는 대규모 화학물질 취급시설의 노후화와 사고 증가로 주민 불안이 높아져 사고 시 주민전파대피사후관리 등 지방자치단체 역할 강화를 위해 지역 특성에 맞는 대응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화학사고는 휴먼에러 시설결함 자연재해 등 다양한 원인으로 유출폭발화재 형태로 발생하며 물질 특성과 사고 규모에 따라 LEVEL1부터 LEVEL4로 구분해 대응 방안을 달리해야 한다
주민전파 체계는 사업장지자체마을방송사이렌재난문자SNS 등을 통해 사고 정보를 전달하지만 콘텐츠와 대상 범위가 제한적이어서 근로자방문객 등에게는 신속히 전달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효과적 대피를 위해 경보방법 개선 화학물질별 행동요령 구체화 대피장소경로 설계 중앙부처 재난문자 권한 이양 등이 요구되며 지자체 주도의 종합대피계획 수립이 필수적이다
사고 대응을 위해 환경부행안부소방경찰군부대의료기관 등 유관기관과 사업장의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고 공동훈련과 정보 공유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향후 조례 제정으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권역별 대응 네트워크를 활성화하며 전문인력장비 확보와 주민참여 기반 거버넌스를 통해 화학사고 대응 역량을 지속 개선해야 한다

목차

1 서론
2 화학사고 유형과 비상계획의 적용
3 주민전파 및 소산 시스템
4 화학사고 시 기관별 역할과 공조
5 결론 및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