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KTX 공주역 이용관광객 유치확대 방안
현안

KTX 공주역 이용관광객 유치확대 방안

기간
2018. 09. 01 ~ 2018. 10. 31
연구책임자
김양중
키워드
KTX,공주역,관광객,설문조사,백제문화제,역사유산,홍보,교통수단
다운로드

공주시 현안과제(최종_수정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연구는 KTX 공주역의 관광객 유치를 위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공주역 관광객은 주로 5060대 연령층이 많았으며 주요 방문 목적은 백제문화제와 역사유적지 탐방이었다 방문객의 절반가량이 가족 단위였고 당일 여행 비중이 높아 빠르고 편리한 교통수단으로서의 공주역 역할이 강조되었다 특히 공주역에 대한 인지도는 서울 경기 전북 등 호남고속철 노선 중심 지역에서 높았고 홍보 수단으로는 인터넷과 SNS의 활용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객들은 공주역 이용 시 가장 만족한 요소로 청결한 시설과 빠른 이동성을 꼽았으며 반면 가장 불만족한 요소는 연계 교통수단 부족이었다 특히 KTX 공주역과 주변 관광지 사이의 교통편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았으며 이에 따라 대중교통 확대와 연계 셔틀버스 도입 등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또한 20대는 콘텐츠와 편의시설 부족을 주요 불만으로 지적해 젊은 층을 위한 맞춤형 인프라 개선도 요구되었다
공주역의 역사문화 테마역 조성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의견이 많았고 특히 5060대는 문화예술전시장 농특산물 전시판매시설을 필요로 한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20대는 기념품 전시와 공예체험 공간의 필요성을 강조해 연령별 콘텐츠 차별화가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전반적으로 공주역의 정체성을 살린 테마역 조성에 대한 기대감은 높은 편이었다
재방문 의향은 평균적으로 높은 편이었으나 20대의 경우 낮은 수치를 보여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콘텐츠 확충이 향후 재방문율 제고에 필수적임을 시사하였다 관광비용 지출은 음식비와 숙박비 비중이 높았으며 특히 5060대는 음식 소비가 많아 이들 연령층을 타겟으로 한 공주의 음식문화 홍보가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이 될 수 있다
관광객들은 공주역 내 편의시설 부족 음식점 부재 안내 표지판 미흡 등을 지적하였으며 숙소와 공주역 간 평균 이동시간이 30분 이상으로 나타나 관광객의 피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관광 플랫폼으로서 공주역의 기능 강화를 위해서는 숙박 인프라 확충 및 도심과의 접근성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KTX 공주역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5060대를 중심으로 한 맞춤형 마케팅과 시설 확충 20대를 위한 체험형 콘텐츠 확대 연계 교통망 구축 및 편의시설 정비가 핵심 과제로 도출되었으며 이를 통해 공주역은 충남 남부권의 중심 관광거점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제1장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제2장 설문개요 및 기초통계
제3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제4장 요약 및 시사점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