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KTX 공주역 이용 모니터링 및 활성화 방안(2차 ) - 이용객 경로조사 및 시사점 분석
현안

KTX 공주역 이용 모니터링 및 활성화 방안(2차 ) - 이용객 경로조사 및 시사점 분석

기간
2019. 12. 23 ~ 2020. 01. 31
연구책임자
김양중
키워드
공주역,KTX,대중교통,관광객,세종정부청사,교통수단,지역연계,활성화정책
다운로드

공주시 현안과제(013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KTX 공주역 이용객 모니터링 조사에 따르면 공주역 이용자는 대부분 충남 지역 출신이며 그중 공주시 비중이 가장 높다 인근 논산 부여 청양 등지의 이용률은 낮아 이들 지역과의 접근성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용객의 주요 이동경로는 수도권서울 경기이며 일부는 전북과 전남 지역으로도 이동하고 있다
공주역 이용 시 주 교통수단은 자가용이었으며 특히 대전과 세종에서 온 이용객은 모두 자가용을 사용하였다 반면 세종 정부청사 방문객은 버스를 많이 이용하여 BRT 등 대중교통 연계망 확장이 요구된다 하차자의 경우도 충남 내 공주시 방문 비율이 높으며 세종 방문객의 주요 목적지는 정부청사였다
관광목적 방문은 평균 연 18회로 나타났으며 주요 방문지는 공산성 송산리 고분군 국립공주박물관 순이었다 관광객의 대부분은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방문하였으며 문화유산 중심의 관광 외에 가족단위 콘텐츠 개발이 제안되었다 교육목적 방문객은 적지만 국민안전교육연구단지 접근성 개선을 위한 셔틀버스와 대중교통 확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공주역 인지경로는 홍보물이 가장 많았고 인터넷과 SNS 특히 블로그를 통한 인지도도 높게 나타나 연령별 맞춤형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 이용객은 KTX의 빠른 이동시간을 가장 큰 장점으로 꼽았으며 계속 이용하겠다는 의향도 높게 나타났다
불만족사항으로는 대중교통과 연계교통망 부족이 가장 많이 지적되었으며 편의시설 부족과 음식점 부재도 주요 문제로 제기되었다 개선 방안으로는 대중교통 노선 확대 기차와 버스 배차 간격 조정 역내 편의시설 및 주변 상권 활성화 등이 제시되었다

목차

제1장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제2장 설문의 개요 및 기초통계
제3장 이동경로 및 교통수단
제4장 이용이유 및 개선방안
제5장 요약 및 결론
부록 1 설문지
부록 2 개선방안오픈형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