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플러스

전략
충남 화재진압차량 골든타임 확보율 개선 방안연구Ⅰ: AVL시스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출동 지체구간 도출
- 기간
- 2018. 07. 02 ~ 2018. 12. 28
- 연구책임자
- 최돈정
- 연구자
- 박정환
- 키워드
- 빅데이터,공간정보,소방서비스

내용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공공분야의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원료로서 데이터는 기존에 없던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한 핵심적인 기회요인이며 동시에 사회전체를 연결시키는 매개수단으로 작용한다 이미 세계
각국은 공공분야의 데이터가 가지는 잠재적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데이터 개방과 활용을 통해 과학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지능형 정부로 탈바꿈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이익이나 산업적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민간 빅데이터의 경우 이미 그 활용성은 검증이 되어있는 단계라 볼 수 있다 민간 빅데이터는 데이터 자체가 아니라 이를 응용한 2차 3차 콘텐츠 개발을 통해 공공의 영역보다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단계이다
공공분야의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원료로서 데이터는 기존에 없던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한 핵심적인 기회요인이며 동시에 사회전체를 연결시키는 매개수단으로 작용한다 이미 세계
각국은 공공분야의 데이터가 가지는 잠재적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데이터 개방과 활용을 통해 과학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지능형 정부로 탈바꿈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이익이나 산업적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민간 빅데이터의 경우 이미 그 활용성은 검증이 되어있는 단계라 볼 수 있다 민간 빅데이터는 데이터 자체가 아니라 이를 응용한 2차 3차 콘텐츠 개발을 통해 공공의 영역보다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단계이다
목차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및 범위 3
1 연구목적 3
2 연구범위 4
제2장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의 차별성 5
1 선행연구 고찰 5
1 공간정보기반의 화재연구 5
2 AVLAutomatic Vehicle Location 시스템 관련 연구 7
2 연구의 차별성 9
제3장 충남 화재사고 발생 및 출동소요시간 특성 분석 01
1 화재사고 발생분석 10
1 충남 소방기관 관할지역 담당 건축물 수 및 인구수 현황 01
1 안전센터별 관할지역면적 현황 01
2 안전센터별 담당 건축물 현황 31
3 안전센터별 담당 인구 현황 61
2 소방기관소방서 안전센터별연도별 화재 발생 건수 02
3 소방기관소방서 안전센터별연도별 인명피해 변화 22
4 소방기관소방서 안전센터별연도별 피해액 변화 62
2 화재사고 출동소요시간 분석 03
1 소방기관소방서 안전센터별연도별 골든타임 확보율 03
2 소방기관소방서 안전센터별연도별 출동소요시간 분석 23
제4장 충남 화재진압 차량 출동지체구간 결과 도출63
1 AVL자료 및 화재사고의 공간자료 구축63
1 공간자료 구축 프로세스 63
1 소방차량 GPS 궤적정보 속성 63
2 소방차량 GPS 궤적정보 정제과정 73
3 소방차량 GPS 궤적정보 재분류 및 최종구축 93
4 화재진압 차량 GPS 궤적정보 추출 04
5 2018년 화재사고 공간자료 구축 74
2 AVL자료 기반의 출동지체구간 도출 및 가시화 94
1 출동지체구간 도출과정 94
2 출동지체구간 가시화 45
3 출동지체구간 시각화 동영상 제작 85
2 출동지체구간의 환경요인 탐색56
1 안전센터별 출동지체구간 주요 환경특성 56
1 독립기념관 안전센터 56
2 두정안전센터 66
3 병천안전센터 68
4 서부안전센터 69
5 성거안전센터 70
6 성환안전센터 71
7 쌍용안전센터 72
8 입장안전센터 73
9 청당안전센터 74
10 풍세안전센터 57
11 서북현장대응단 67
12 동남현장대응단 77
2 환경요인 종합 78
1 안전센터의 입지 87
2 불법 주정차 80
3 도로상태 82
4 교통량에 따른 교통상황 68
5 과속방지턱 87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89
1 결론 89
2 정책제언 90
1 AVL 자료시스템의 정기적인 업데이트방안 마련 09
2 화재보고서 자료와의 자료연계방안 마련 19
3 출동 지체구간의 환경요인 파악을 위한 도시정보의 자료구축 29
참고문헌 95
부 록 97
2 연구목적 및 범위 3
1 연구목적 3
2 연구범위 4
제2장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의 차별성 5
1 선행연구 고찰 5
1 공간정보기반의 화재연구 5
2 AVLAutomatic Vehicle Location 시스템 관련 연구 7
2 연구의 차별성 9
제3장 충남 화재사고 발생 및 출동소요시간 특성 분석 01
1 화재사고 발생분석 10
1 충남 소방기관 관할지역 담당 건축물 수 및 인구수 현황 01
1 안전센터별 관할지역면적 현황 01
2 안전센터별 담당 건축물 현황 31
3 안전센터별 담당 인구 현황 61
2 소방기관소방서 안전센터별연도별 화재 발생 건수 02
3 소방기관소방서 안전센터별연도별 인명피해 변화 22
4 소방기관소방서 안전센터별연도별 피해액 변화 62
2 화재사고 출동소요시간 분석 03
1 소방기관소방서 안전센터별연도별 골든타임 확보율 03
2 소방기관소방서 안전센터별연도별 출동소요시간 분석 23
제4장 충남 화재진압 차량 출동지체구간 결과 도출63
1 AVL자료 및 화재사고의 공간자료 구축63
1 공간자료 구축 프로세스 63
1 소방차량 GPS 궤적정보 속성 63
2 소방차량 GPS 궤적정보 정제과정 73
3 소방차량 GPS 궤적정보 재분류 및 최종구축 93
4 화재진압 차량 GPS 궤적정보 추출 04
5 2018년 화재사고 공간자료 구축 74
2 AVL자료 기반의 출동지체구간 도출 및 가시화 94
1 출동지체구간 도출과정 94
2 출동지체구간 가시화 45
3 출동지체구간 시각화 동영상 제작 85
2 출동지체구간의 환경요인 탐색56
1 안전센터별 출동지체구간 주요 환경특성 56
1 독립기념관 안전센터 56
2 두정안전센터 66
3 병천안전센터 68
4 서부안전센터 69
5 성거안전센터 70
6 성환안전센터 71
7 쌍용안전센터 72
8 입장안전센터 73
9 청당안전센터 74
10 풍세안전센터 57
11 서북현장대응단 67
12 동남현장대응단 77
2 환경요인 종합 78
1 안전센터의 입지 87
2 불법 주정차 80
3 도로상태 82
4 교통량에 따른 교통상황 68
5 과속방지턱 87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89
1 결론 89
2 정책제언 90
1 AVL 자료시스템의 정기적인 업데이트방안 마련 09
2 화재보고서 자료와의 자료연계방안 마련 19
3 출동 지체구간의 환경요인 파악을 위한 도시정보의 자료구축 29
참고문헌 95
부 록 97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최돈정
모바일 빅데이터와 지역자료 연계를 통한 공공정책 발굴을 위한 연구회(CNI세미나2017-025) (최영진,최돈정) 2017. 03. 27
2017 제2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033) (최돈정, 양규석, 나상일, 장동호, 김태우) 2017. 04. 26
2017 제7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117) (이상옥,황명화,최진영,최돈정) 2017. 09. 18
2016 제7차 충남미래연구포럼_마이크로데이터 기반의 분석과 활용방안(최돈정, 박성인, 류홍철) 2016. 08. 31
2017 제10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153)(최진영,최돈정) 2017. 11. 27
충남연구원 개원22주년 기념세미나_데이터에 눈뜨다, 스마트 충청남도(CNI세미나-044)(김승범, 하도훈, 최돈정) 2017. 06. 15
-
박정환
제2차 모바일 빅데이터와 지역자료 연계한 공공정책 발굴 모색 워크숍(CNI세미나2017-054) (박정환,최진영) 2017. 06. 01
(충남정책지도 제22호) 소상공인 상가업소 수 현황과 변화 2018. 04. 09
서천군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수립 및 타당성 조사연구 2012. 07. 06
소방데이터를 활용한 소방력 배치방안 연구 2017. 06. 01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는 충남 민원 빅데이터 분석과 정책적 방안 제시 2017. 08. 30
충남의 가축매몰지 및 축사 입지환경 분석과 정책제언 2017.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