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2018 제1차 충남미래연구포럼 - 충남의 미래발전 방안(CNI세미나2018-012)(홍원표,송미영,이관률)
연구정책조성/포럼

2018 제1차 충남미래연구포럼 - 충남의 미래발전 방안(CNI세미나2018-012)(홍원표,송미영,이관률)

기간
2018. 03. 20 ~ 2018. 03. 20
연구자
송두범,이관률,정봉희,홍원표,강수현
키워드
돌봄,공동체,충남,고령화,경제,수풀경제,인프라,자치
다운로드

[자료집]제1차 충남미래연구포럼-180320.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 미래연구포럼은 돌봄안전망과 지역경제의 미래 구상을 주제로 개최되었다 송미영 연구위원은 고령화 사회에서 돌봄의 사회화와 지역화 필요성을 강조하며 공동체 기반의 지속가능한 돌봄체계 구축을 제안했다
돌봄은 생애 전반에 걸쳐 보편적 권리로 간주되어야 하며 정든 곳에서의 노화Aging in Place를 가능하게 하는 지역 밀착형 서비스가 중요하다고 제시했다 가족 중심의 돌봄에서 벗어나 마을단위 돌봄공동체의 복원을 촉구했다
2040년 충남은 노인 자살률 0 치매책임제 정착 돌봄 부담 경감 여가와 일자리가 공존하는 노년문화가 실현된 지역으로 구상되며 품앗이 돌봄 가족 돌봄자 지원 1차의료 중심 주치의 제도 도입 등이 핵심 전략으로 제시되었다
이관률 연구위원은 충남경제의 구조적 문제로 지역 내 산업 간 순환 부족 이식형 제조업 중심의 경제체계 한계를 지적하며 이를 극복할 대안으로 수풀경제 개념을 제시했다 이는 다양한 경제주체 간 상호작용을 통한 다층적 순환체계 구축을 의미한다
충남의 미래 먹거리로는 그린바이오 산업 친환경 동력장치 산업 개인정보 삭제 산업 해양레저 산업이 제안되었으며 제조업 중심 지원정책에서 벗어나 농어업서비스업 중심의 지역 순환경제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되었다
충남비즈니스혁신아카데미 운영 공유경제 및 사회적 경제 육성 충남형 산업생태계 구축 등이 실천 전략으로 제시되었으며 장기적으로는 주민참여 기반의 자립적 경제체계와 돌봄복지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목표로 설정되었다

목차

충남인의 돌봄 안전망
Ⅰ 돌봄 울타리의 변화 가족의 틀을 넘어
Ⅱ 2040 충남 품위 있는 노년을 그리다
Ⅲ 빈틈없는 돌봄 공동체에 답이 있다
Ⅳ 2040 돌봄 안전망 세 가지 이야기
충남 미래경제와 먹거리
Ⅰ 현재 충남경제의 문제는
Ⅱ 미래 충남경제의 과제는
Ⅲ 미래 충남경제의 먹거리는
Ⅳ 향후 충남경제의 실천전략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