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충청남도종합계획 수립방향 모색을 위한 제1차 워크숍(CNI세미나2019-016)
연구정책조성/워크숍

충청남도종합계획 수립방향 모색을 위한 제1차 워크숍(CNI세미나2019-016)

기간
2019. 03. 20 ~ 2019. 03. 20
연구자
오용준,김형철,정지은,이제이
키워드
충청남도,지역발전,인구감소,고령화,국토종합계획,복지수도,균형발전,신성장거점
다운로드

[01] 제5차 국토종합계획 수립에 따른 도종합계획 수립방향_20190318.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제5차 국토종합계획20202040에 반영할 지역발전 계획을 수립하며 인구감소 고령화 지역 간 불균형 환경위험 증가 등 복합적 문제에 대응하고자 한다 충남은 전체 읍면동의 82 이상에서 인구가 감소하고 있으며 고령화율이 일부 지역에서 50를 넘는 등 농촌마을의 소멸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정주환경 의료서비스 문화 접근성 교통 인프라 등 생활기반 전반에 걸쳐 지역 간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
계획의 핵심 방향은 공간통합적 지역발전 복지수도 건설 자립적 경제기반 조성 지역자산 활용 신성장거점 네트워크 구축으로 요약된다 우선 인구감소 시대에 대비한 다층적 압축도시 체계를 구축하고 농어촌 커뮤니티 재편과 스마트 건강주구 조성 등을 통해 농촌지역의 정주여건 개선을 추진한다
복지수도 건설을 위해서는 저출산고령화에 대응한 지역 돌봄공동체 확산과 생활형 SOC의 차별화된 공급 전략이 제시된다 이를 통해 돌봄 교육 문화 등 생활 서비스가 지역 내에서 밀착형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특히 접근성 취약 지역을 대상으로는 포용적 복지공급 체계를 강화한다
경제 분야에서는 수도권과의 격차를 줄이고 지역 내 순환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산업구조 다변화 지역 법인화 상생 산업단지 조성 등이 추진된다 중소기업과 중견기업 지원 청년 창업 및 스마트 산업 육성을 통해 자립 기반을 확보하고자 한다
문화환경 부문에서는 지역 유휴자산을 활용한 문화공간 조성과 지역 문화유산을 기반으로 한 문화도시 조성 전략이 포함된다 환경 측면에서는 생태계 복원 라돈 및 미세먼지 저감 그린 인프라 확충 등을 통해 쾌적한 생활환경을 구축한다
마지막으로 환황해권 중심도시 육성과 국가기간시설 연계 교통망 구축을 통해 내포혁신도시 등을 중심으로 한 신성장거점이 형성된다 고속도로와 철도 항만을 연계한 교통 인프라 확충으로 산업과 관광의 접근성을 높이고 국가균형발전을 지원할 복합 거점 기능을 강화하고자 한다

목차

Ⅰ 여는 말
01 새로운 정책환경
02 충남의 현실과 도전
Ⅱ 충청남도 지역발전방향 및 추진전략
01 공간통합적 지역발전
02 대한민국 복지수도 건설
03 혁신균형성장과 자립적 경제기반 조성
04 지역자산을 활용한 지역주도 발전
05 신성장거점 네트워크체계 구축
Ⅲ 맺는 말
01 충청남도 미래이슈
02 충청남도 미래발전구상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