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천안-아산 AI 공동대응 매뉴얼 구축 검토를 위한 연구진-담당자 워크샵 (CNI세미나2018-040)
연구정책조성/워크숍

천안-아산 AI 공동대응 매뉴얼 구축 검토를 위한 연구진-담당자 워크샵 (CNI세미나2018-040)

기간
2018. 05. 23 ~ 2018. 05. 23
연구자
정옥식,강마야,김기흥,최돈정
키워드
천안,아산,AI,공동대응,방역,축산,공간정보,정책매뉴얼
다운로드

★180523_천안-아산 AI 공동대응 매뉴얼 구축을 위한 연구진-담당자 워크샵 자료집(최종인쇄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3.180523_일본 사례를 통한 지역 단위 매뉴얼 구축 방안_김기흥(최종).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천안아산 AI 공동대응 매뉴얼 구축을 위한 워크숍은 반복 발생하는 AI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두 지역 간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개최되었다 지역 특성과 발생 사례를 분석하고 실효성 있는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결과와 제언이 공유되었다
워크숍에서는 충남의 가축 매몰지 및 축사 DB 공간정보 기반 AI 감시 체계 일본의 대응사례 등 다양한 발표가 이어졌으며 각 연구는 예방 중심 방역체계 필요성과 공간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빅데이터와 GIS 기반 정보의 활용이 방역정책 효율화에 큰 도움이 된다는 점이 부각되었다
양시는 공동 방역 대책으로 소독시설 공유 거점초소 공동 운영 GPS 미장착 차량 단속 ICT 기반 농가 정보 공유 등을 추진하며 철새도래지 공동조사 및 발생 시 공동살처분 등도 포함된다 농가 실태조사와 맞춤형 방역 컨설팅도 주요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축산차량 이동정보를 활용한 접촉 네트워크 분석과 고위험 지역 도출 등도 논의되었으며 이를 통해 거점 소독시설 위치 선정 및 방역 자원 효율적 배분이 가능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공간표집방법론을 통해 야생조류 서식지 감시 효율도 제고할 수 있다
일본은 사육위생관리기준을 강화하고 자치단체 단위의 대응 매뉴얼을 구축해 지역 맞춤형 방역체계를 운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를 참고하여 주체별단계별 역할이 명확한 매뉴얼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결론적으로 천안아산은 AI 공동대응 매뉴얼을 통해 발생 전 예방적 조치와 발생 시 신속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축산환경과 지역 간 연계방역체계를 확립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목차

천안아산 AI 공동대응 매뉴얼 구축을 위한 연구진담당자 워크샵
I 충남의 가축매몰지 및 축사 DB 구축과 입지 환경 분석
1 공간정보 기반의 가축매몰지 및 축사DB 구축의 필요성
2 공간정보 기반의 공공정책 개발사례 검토
3 공간정보 기반의 충남의 가축 매몰지 및 축사 DB 구축과 입지 환경 분석
4 요약 및 시사점
II 공간정보 기반의 AI 유입감시 및 방역체계 구축
11 국내 야생 철새 도래지 공간표집방법론 실증 적용
12 주요 연구결과
13 요약 및 시사점
21 국가동물방역통합시스템 활용방안
22 주요 연구결과
23 요약 및 시사점
31 가축전염병 고위험지역 탐색
32 주요 연구결과
33 요약 및 시사점
III 일본 사례를 통한 지역단위 매뉴얼 구축
1 한국의 AI 대응 대책 개요
2 일본의 AI 대응 대책 개요
3 요약 및 시사점
IV 충남의 축산문제 공동해결을 위한 통합정책 방안
1 연구의 개요
2 분석방법과 문제 구조
3 사례연구지역 통합정책 방안
4 요약 및 시사점
충남 돼지구제역의 발생 특징 분석
I 2000년2016년 전국 소돼지 구제역 발생
1 2011년 전국 소돼지 구제역 발생
2 2014년2016년 전국 소돼지 구제역 발생
II 2015년 기준 충남 읍면동별 돼지 사육규모
III 2011년2016년 충남 돼지구제역 발생
1 2011년 충남 돼지구제역 발생
2 2015년 충남 돼지구제역 발생
3 2016년 충남 돼지구제역 발생
IV 2011년2016년 충남 돼지구제역 2회 이상 발생농가
V 긴급 행동지침SOP에 따른 충남 돼지구제역 방역지역 내 농가분포
충남 돼지구제역의 방역 실태 분석
I 충남의 위탁사육 농가와 돼지구제역 발생
II 충남의 돼지구제역 발생농가 사육형태
III 충남의 축산관련 작업장과 돼지구제역 발생
IV 충남의 차단방역시설과 돼지구제역 발생
V 충남의 차단방역시설과 농가 분포
VI 충남의 돼지구제역 NSP항체 검출 지역
VII 충남의 돼지 사육농가 SP항체 형성률
VIII 충남의 돼지 사육농가 백신 공급과 접종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