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충남어촌체험마을 발전방향 모색 워크숍(CNI세미나2018-042)
연구정책조성/워크숍

충남어촌체험마을 발전방향 모색 워크숍(CNI세미나2018-042)

기간
2018. 05. 24 ~ 2018. 05. 25
연구자
김종화,강현수,전영미,박용규,장원석,심희철
키워드
어촌체험,농어촌,6차산업,바지락,체험마을,충청남도,마을운영,관광활성화
다운로드

인쇄본_어촌체험마을 워크숍.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 어촌체험마을 워크숍은 병술만 용신 대야도 삽시도 등 주요 마을들이 참여해 운영 현황과 발전 전략을 공유하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병술만 마을은 다양한 해양체험과 캠핑을 운영하며 방문객 수는 연간 6만 명에 이르지만 도유지 한계로 인해 시설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체험 콘텐츠의 다양화와 소사장제 도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용신 마을은 바지락 캐기 중심의 단조로운 체험과 노후된 시설 부족한 홍보로 경쟁력이 낮으며 전문가들은 SNS 홍보 강화와 체험 프로그램 확대 초중고 대상 MOU 체결 등을 제안했다
대야도 마을은 우럭포 가공을 중심으로 어촌특화센터 식당 문화행사 등을 연계한 6차산업 모델을 추진 중이나 위생설비 부족과 가공시설 미비 체험 다양성 부족 등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삽시도 마을은 해삼양식과 바지락 해감을 주요 수익원으로 삼고 있지만 어촌계와 숙박업자 간 갈등이 지속되고 있으며 체험센터 신축과 주민 간 협력체계 구축이 시급한 과제로 언급되었다
워크숍 전반에서는 어촌체험마을 활성화를 위해 자원 특성에 맞는 콘텐츠 개발 홍보 전략 다각화 마을 간 네트워킹 시설 개선 공공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 제시되었다

목차

발표 자료
I 병술만 어촌체험마을
II 용신 어촌체험마을
III 대야도 어촌체험마을
IV 삽시도 어촌체험마을
V 장고도 어촌체험마을
VI 무창포 어촌체험마을
VII 월하성 어촌체험마을
VIII 웅도 어촌체험마을
IX 중리 어촌체험마을
주민 교육
I 어촌체험과 SNS 홍보전략
사례 발표
I 대야도 어촌체험마을의 운영현황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