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한국은행 창립 68주년 지역경제 세미나(CNI세미나2018-048)
연구정책조성/세미나

한국은행 창립 68주년 지역경제 세미나(CNI세미나2018-048)

기간
2018. 06. 20 ~ 2018. 06. 20
연구자
강현수,백운성,정봉희
키워드
디지털 혁신,인공지능,제조 2025,인터넷 플러스,공유경제,창업지원,대전충남,보호무역주의
다운로드

180620-한국은행창립68주년기념공동세미나-자료집.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2018년 6월 20일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에서 열린 세미나는 미중 통상갈등과 디지털 전환 등 대전충남 경제 이슈를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과학기술 산업 정책 지역 대응전략이 주요 의제로 논의되었다
중국은 인터넷 중국제조 2025 대중창업만인창신 전략을 통해 디지털 혁신을 추진하며 모바일 결제 O2O 인공지능 공유경제 등에서 글로벌 선도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반면 전통 제조업 혁신은 상대적으로 미진한 상태다
대전충남은 창업 인식은 낮지만 청년 창업 준비도와 정부지원 집중도가 높으며 제조업과 지식산업이 혼재된 구조적 강점을 갖고 있다 다만 지역 간 연계 부족과 글로벌 네트워크 부재가 약점으로 지적되었다
충남은 수출의 61가 전자부품에 집중되고 있으며 주요 수출국은 중국 홍콩 베트남이다 미중 무역갈등은 중간재 중심의 수출구조를 가진 충남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실증적으로 분석되었다
기업 수출에 대한 무역장벽 영향 분석 결과 무역기술장벽TBT 증가가 수출 가능성과 수출집약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기술 산업에서 비관세장벽이 급증한 것이 수출활동에 큰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전충남의 대응 전략으로는 환황해 경제협력 외국인 유치 기반 조성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대중국 직통 플랫폼 개발 등이 제안되었다 장기적으론 기술과 제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포지셔닝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목차

Ⅰ 중국의 디지털 혁신전략과 대전 충남 지역의 과제
1 중국의 현황과 디지털 혁신 주요 정책
2 중국의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는 주요 산업과 지역
3 대전충남 지역의 혁신 현황
4 결론 대전충남 지역의 전략적 포지셔닝안
Ⅱ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와 미중 통상갈등이 충남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보호무역주의와 미중 통상갈등
2 충남지역의 거시경제지표 분석
3 무역장벽이 기업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4 결론 및 시사점
Ⅲ 디지털전환 Digital Transformation을 통한 대전충남 산업 육성 방안
1 디지털 전환 Digital Transformation의 의미
2 디지털 전환의 중요성
3 디지털 전환은 단순한 디지털화인가
4 대전 충남지역 산업 분포
5 중견기업을 위한 기업전략 AccorHotels
6 비즈니스 사례 분석 AccorHotels
7 하청업체 역량 강화 전략 Klockner Co
8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제안 요약
9 소상공인을 위한 O2O 신선식품시장
10 소상공인을 위한 O2O 플랫폼
11 정책 제안 Suggestion for Policy
12 Q A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