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농촌자원의 효율적 보전, 관리 방안 모색을 위한 한일 전문가 정책 간담회(CNI세미나2018-101)
연구정책조성/세미나

농촌자원의 효율적 보전, 관리 방안 모색을 위한 한일 전문가 정책 간담회(CNI세미나2018-101)

기간
2018. 09. 14 ~ 2018. 09. 14
연구자
조영재,윤정미,이관률,유학열,강마야,박경철,김기흥,이도경,한승석
키워드
微地形,농촌,수리시설,수로,수자원,동아시아,자연공생,지속가능성
다운로드

@센가유타로교수 발표자료.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문서는 일본 농촌의 사례를 통해 동아시아 지역의 미지형微地形이 가지는 가치와 농업문화적 특성을 분석하고 전통 농촌이 도시와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지역 모델로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설명한 발표 자료이다
동아시아의 반도와 섬나라는 대륙처럼 대형 하천이나 평야가 없고 화산과 지진 강우 등의 영향으로 작은 경사지가 많은 미지형의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형은 초기부터 인간이 토지를 이용하기에 유리하여 일본에서는 역사적으로 이 지형을 활용한 수전水田 문명이 발달하였다
일본의 고대 수전은 평야가 아닌 미고지의 완만한 경사지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수로와 저수지 배수로 등 물길을 조절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수전 농업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조건은 경제기술이 미흡했던 시대에도 수전 개발을 비교적 쉽게 만들었다
전통 농촌의 자연은 1차 자연과 2차 자연인간이 관리하며 지속가능하게 형성된 자연으로 구성되며 물길 논 숲 등이 결합된 환경은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처이자 아이들의 성장 공간이기도 했다 이러한 자연과 인간의 공존 환경은 자연인간 공생지역으로 지속가능한 지역사회의 기반이 되었다
또한 일본 동요 봄의 시냇물 가사를 예로 들어 농촌의 환경정보가 어린이 문화 속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설명하며 전통적 농촌의 정서와 생태적 특성이 도시 어린이 교육에도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결론적으로 도시 주민은 전통 농촌이 제공하는 생태적문화적 가치를 인식해야 하며 도시 내에도 농촌적자연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도입해 아이들이 풍요롭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과제가 제시되었다

목차

1 はじめに
2 微地形の集合体としての東アジア
3 微地形農業の歴史的背景
4 自然人間共生地域としての伝統農村
5 都市と農村の共存
6 おわりに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