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내용
지역통계는 시도 시군구 단위로 작성되는 국가승인통계로 전체 국가통계의 약 635를 차지한다 지자체 작성통계가 다수를 차지하나 비교 가능성과 시의성 확보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기초지자체는 전담 조직이나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순환보직으로 인해 통계 전문성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통계 작성 수는 2015년 이후 꾸준히 증가했으며 표준매뉴얼 보급 데이터센터 운영 등을 통해 기반을 확충하고 있다
성과로는 지자체 작성 통계 증가 지역특화통계 확대 표준매뉴얼 개발 e지방지표 개선 공간통계SGIS 서비스 확장 등이 있으며 과제로는 통계자료의 시의성 부족 행정자료의 통합 활용 미흡 지자체 통계인력과 예산의 취약성 통계전문교육 강화 필요 등이 지적되었다
지방청과 지역연구원은 지역통계발전협의회 통계컨설팅 표준매뉴얼 개발 자문 맞춤형 정책자료 분석 등 다양한 협력을 진행 중이며 공동 기획보도 및 자료제공 사례도 있다 통계청은 이러한 협력 구조를 제도화하고 권역별 발전과제 도출 및 상호 피드백 체계를 강화하고자 한다
간담회에서는 지역별 주요지표체계를 지역연구원이 구축하고 통계청은 이에 맞는 통계 개발을 지원하는 협업 방안이 제안되었다 또한 통계 빅데이터 RDC 등 데이터 접근성 향상 정책 분석 정확도 제고를 위한 공동과제 수행의 필요성도 논의되었다
지역통계 거버넌스 강화를 위해서는 본청지방청지역연구원 간의 협의체 운영을 통해 발전과제를 발굴공유하고 이를 통계 종합계획에 반영하며 중앙부처 및 지방기관 간 연계협력 체계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목차
Ⅱ 지역통계 현황과 주요성과
1 지역통계 현황
2 지역통계 주요성과와 과제
Ⅲ 지방청지역연구원 협력 현황
Ⅳ 간담회 논의지방청연구원 협력방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준원
충남경제 모니터링 포럼 2분기 2018. 06. 22
충남경제모니터링 포럼 1분기 2018. 03. 19
고마나루 지역연결로 조성 타당성 검토 및 기본계획 용역 2013. 01. 07
남북교류협력 릴레이 특강(1차)(CNI세미나2018-053) 2018. 06. 25
남북교류협력 릴레이 특강(2차)(CNI세미나2018-054) 2018. 06. 29
-
김혜정
(충남정책지도 제16호) 충남 반도체 산업 현황과 전망 2017. 11. 13
충남경제교육실무협의회 개최 2016. 11. 28
2021년 열린충남 가을호 2021. 07. 01
제18차 충남경제모니터링 포럼(CNI세미나 2023-004) 2023. 02. 10
충남경제모니터링 포럼 1분기 2018. 03. 19
충남경제 모니터링 포럼 2분기 2018. 06. 22
-
임병철
충남 지역금융 활성화방안 모색(이민정,송기균) 2015. 04. 30
충남 지역에너지 분야 워크숍-친환경에너지 생산과 소비로의 전환(이민정) 2015. 05. 20
충남 소상공인 분야 워크숍-협력과 공유의 자영업생태계로 전환(이민정) 2015. 05. 12
금산군 노인요양시설 및 복지시설 수요전망 2011. 08. 15
도내 기업유치에 따른 충청남도 및 서산시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2011. 07. 15
3세대 산업단지 조성방안 연구 2011. 07. 25
-
김다희
제18차 충남경제모니터링 포럼(CNI세미나 2023-004) 2023. 02. 10
충남경제모니터링 포럼 1분기 2018. 03. 19
충남경제 모니터링 포럼 2분기 2018. 06. 22
민선8기 제3차 경제상황점검회의(CNI세미나 2022-102) 2022. 12. 21
(CNI세미나 2022-086) 글로벌 공급망 관리 정책토론회 2022. 11. 09
충남경제모니터링포럼 2021. 11. 26
동일한 유형의 자료
-
-
-
-
-
연구정책조성/기타환황해권 협력과 서해안 황금벨트 구상 (서진영,전가림,정환우,진창수,조성호,김번욱,강영주,김진석,조상필,곽행구,짜오위푸,리위쩐,타가히데토시)2008. 0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