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백두대간과 정맥의 산림공간 체계화 및 권역별 보전.복원체계 개발   -서부구릉지형 정맥 특성화 관리방안(I)
수탁

백두대간과 정맥의 산림공간 체계화 및 권역별 보전.복원체계 개발 -서부구릉지형 정맥 특성화 관리방안(I)

기간
2018. 03. 15 ~ 2018. 11. 30
연구책임자
사공정희
연구자
정옥식,장하라
키워드
금남정맥,금북정맥,생태적 가치,역사문화자원,정맥관리범위,폐광재생,야생동물사파리,자연관광
다운로드

서부구릉지형 정맥 특성화 관리방안(Ⅰ)_최종보고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금남ㆍ금북정맥은 백두대간과 달리 지역민의 생활과 밀접해 생태적역사문화적 가치가 크다 이를 체계적으로 보전활용하기 위한 관리방안 마련이 본 연구의 목표다
생태적 가치 평가는 법정보호지역 비오톱 등급 멸종위기야생동물 출현 주요 수계 발원지를 기준으로 이뤄졌으며 가야산 칠갑산 계룡산 등은 절대보전이 필요한 지역으로 평가됐다
역사문화적 가치는 명소 여부와 관광자원을 중심으로 평가되었으며 계룡산 향적산 가야산 칠갑산이 높은 점수를 받아 역사문화 활용 가능성이 강조됐다
폐광산은 박쥐의 서식지로 생태관광 가치가 있으며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박쥐 생태관광 저장시설 활용 관광지화 등 재생방안이 제시됐다
사파리형 생태공간 조성을 통해 야생동물과 인간의 공존 생태복지 실현 환경교육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되며 순치된 동물을 활용한 관리형 방사 방식이 제안됐다
생태역사문화 이중 고등급지에는 절대보전과 정보제공이 단일 고등급지에는 특성별 활용방안이 이중 중간등급지에는 시민 친화적 활용이 권장됐다

목차

제1장 연구과제의 개요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절 연구의 범위
금남ㆍ금북정맥 관리범위 기준 설정
금남ㆍ금북정맥 관리범위 경계 설정
제2장 금남ㆍ금북정맥 특성분석 및 권역분류
1절 금남ㆍ금북정맥의 생태적 가치
생태적 가치평가 지표선정 및 평가방법
생태적 가치평가
평가결과에 따른 생태적 권역분류
2절 금남ㆍ금북정맥의 역사ㆍ문화적 가치
역사ㆍ문화적 가치평가 지표선정 및 평가방법
역사ㆍ문화적 가치평가
평가결과에 따른 역사ㆍ문화적 권역분류
3절 권역분류 종합 및 관리방향 제시
제3장 금남ㆍ금북정맥 특이가치 및 활용방안
1절 폐광 재생도시로서의 정맥 가치
폐광산을 활용한 박쥐 생태관광 유도
폐광산 재생사업으로 정맥 복원
2절 사파리로서의 정맥 가치
조성 목적 및 필요성
조성사례
사파리 조성으로 정맥의 친환경적 활용
제4장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