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세종시 야생생물 보호 및 질병관리 세부계획 수립 연구용역
수탁

세종시 야생생물 보호 및 질병관리 세부계획 수립 연구용역

기간
2018. 08. 02 ~ 2019. 01. 28
연구책임자
정옥식
연구자
여형범,사공정희,장하라
키워드
인수공통질병,야생동물 질병관리,질병 예찰체계,세종시 대응전략,긴급대응 매뉴얼,질병모니터링,생태계 건강성,네트워크 구축
다운로드

세종특별자치시 야생생물 보호 및 질병관리 세부계획 수립 연구용역(2019).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세종시 야생동물 질병관리 세부계획은 인수공통질병 확산 우려와 서식지 파괴 증가에 따른 대응 필요성에 기반해 수립되었다 질병관리 목표는 생태계 건강성 유지와 사회경제적 피해 최소화에 있으며 이는 전국 기본계획과 연계된 5개년 중장기 전략이다
질병 발생은 적지만 예방 차원의 관리 기반이 취약하여 구조센터 기록 가축전염병 통계 등을 활용해 발생 실태를 파악했다 구조 기록에 따르면 2018년 세종시 내 멧비둘기 너구리 등에서 감염 사례가 확인되었고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구제역 등의 가축 질병도 빈번하게 보고되었다
대응 전략으로는 ①신고 체계 및 초동 대응 마련 ②예찰 기능 강화 ③관련 기관 간 질병정보 네트워크 구축 등이 설정되었다 각 전략에는 단계별 행동지침 교육 프로그램 운영 예찰 활동 연계 등의 세부사업이 포함되었다
신고 체계는 야생동물 발견 시 시민이나 유관기관이 초기 대응을 수행하고 이후 동물위생시험소 또는 국립환경과학원으로 검사 이송하는 구조로 설계되었다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시에는 서식지 통제와 이동제한 조치도 시행된다
예찰 강화는 모니터링 요원 축산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한 교육 및 홍보를 중심으로 하며 유해야생동물 포획 활동과 연계한 질병 조사도 추진된다 이는 인식 제고와 신고율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네트워크 구축은 유관 기관 간 비상연락망 확보 정보 공유 체계 마련 공동 대응 체계 정비 등을 포함하며 이는 질병 유입 차단과 피해 최소화를 위한 기초 인프라로 작용한다

목차

Ⅰ 계획의 개요
1 계획 수립의 배경 및 필요성
2 계획의 개요
Ⅱ 관련 계획 및 현황
1 관련 계획 및 법규
2 세종시 야생동물 질병 발생 현황
3 세종시 야생동물 질병관리 체계 현황
Ⅲ 야생동물 질병관리 세부계획
1 전략 수립
2 전략별 세부 사업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