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충남리포트플러스

충남리포트플러스

도민 안전의식(인식) 수준 조사
수탁

도민 안전의식(인식) 수준 조사

기간
2018. 10. 29 ~ 2018. 12. 27
연구책임자
박근오
연구자
오혜성
키워드
자연재난,사회재난,생활안전,안전의식 수준,대응능력,안전문화교육,안전정책 인지도,정책 효과성
다운로드

★[Final] 도민 안전의식(인식)수준 조사(2018)_최종보고서_2018.12.26★(3).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 도민의 안전의식 수준 조사는 2018년 1112월에 129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자연재난 사회재난 생활안전 등 각 분야의 인식과 대응 능력을 분석하였다 전년도 대비 안전하다는 응답은 감소하고 불안하다는 응답은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자연재난 안전도에 대해 안전하다는 응답은 435로 전년 대비 23p 감소했고 생활안전 인식은 다소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불안감이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 안전도 인식도 373로 하락세를 보이며 안전에 대한 기대수준이 상승한 것으로 해석된다
도민의 안전의식 수준에 대해 보통이라는 응답이 775로 가장 많았고 높다는 응답은 전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이는 전반적으로 안전의식 개선 여지가 크다는 인식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재난 대응능력 만족도는 자연재난 382 사회재난 380 생활안전 379로 비교적 긍정적 평가를 받았지만 여전히 불만족 비율도 적지 않아 체감 정책 강화가 요구된다 전반적 대응능력 만족도는 전년 대비 상승했으며 정책 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안전문화교육 경험 비율은 646로 전년보다 증가했으며 교육기관과 전문기관 중심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중점 추진 희망 교육분야는 화재안전이 1순위로 자동차안전 재난대응 등이 뒤를 이었다
안전정보는 TV라디오369를 통해 가장 많이 접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어플 활용도도 증가 중이다 효과적인 안전의식 제고 방법으로는 언론홍보 외에도 실전훈련 체험시설 확대 등 체감형 교육이 선호되는 경향을 보였다

목차

제1장 조사의 개요
1 조사목적 및 활용 방안
2 조사설계 및 내용
제2장 조사결과 요약
1 현재 충청남도의 안전도 인식 수준
2 도민 안전의식 수준 및 대응능력
3 안전문화교육 경험
4 주요 안전문화 정책의 인지도
5 주요 안전문화 정책의 효과성
제3장 조사결과 상세분석
1 현재 충청남도의 안전도 인식 수준
2 도민 안전의식 수준 및 대응능력
3 안전문화교육 경험
4 주요 안전문화 정책의 인지도
5 주요 안전문화 정책의 효과성
제4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도민 인식
2 교육 및 의식 제고 방안
3 시책 발전 방향
별첨 설문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