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당진 행복지표(안) 체계화 방향
시군협력

당진 행복지표(안) 체계화 방향

기간
2019. 07. 01 ~ 2019. 10. 30
연구책임자
홍원표
연구자
송영현,강수현
키워드
당진시,발전지표,시민참여형 계획,전체성,비교가능성,미래예측,전문가그룹,삶의 질
다운로드

최종보고서_2019 당진시_발전지표 체계화.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당진시 발전지표 체계화 연구는 시민참여형 미래발전계획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당진시의 발전지표를 재구성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계획의 체계성과 실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기존 계획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공무원과 시민 전문가가 협력하는 방식으로 추진됐다
발전지표는 함께할 맛 살 맛 일할 맛 쉴 맛 만족할 맛 꿈꾸는 맛의 6개 영역 14개 분야 56개 개별지표로 구성되며 시민의 삶을 직관적이고 쉽게 표현하기 위해 할 맛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이는 시민의 주관적 체감과 참여를 중시한 구성으로 평가된다
지표의 구조는 객관과 주관 현재와 미래 개별과 집합 등 다양한 관점을 반영하려 했으나 일부 영역 간 위계 불균형 목표수단 관계 미흡 주관지표 편중 등의 문제점도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살 맛은 타 영역에 비해 포괄적이며 만족도는 중복 구성 문제가 있었다
개선 방향으로는 전체성 제고와 비교가능성 향상이 제시됐다 시민 삶의 모든 영역을 고르게 담고 타 지역 및 국제지표와 비교할 수 있도록 지표체계를 보완하고 대표보조 지표 구분을 통해 유연성과 실용성을 강화할 필요성이 강조됐다
국내외 사례로는 OECD 지역웰빙지수 국민총행복도 세계행복보고서 등이 분석되었으며 이들 지표는 주관적 삶의 질과 객관적 생활 조건 간 균형 정책 활용성 다차원적 영역 구성 등을 특징으로 한다 당진시 지표는 이를 참고해 시민중심 관점에서 발전시킬 수 있다
최종적으로 발전지표는 단순한 진단도구를 넘어 정책설계와 성과평가 시민소통의 기반으로서 역할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이후 발전계획 수립 및 실행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조정보완될 수 있도록 유연성과 참여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목차

I 과업개요
1 과업의 배경 및 목적
2 과업의 범위
3 과업의 추진과정
4 과업의 추진체계
II 당진시 발전지표안의 성격 검토
1 미래발전계획 수립에서 발전지표안의 용도
2 발전지표안의 구조와 특징
3 발전지표안의 활용성 제고 방향
III 국내외 주요 지역지표 사례 검토
1 지표체계 구성의 트렌드
2 주요 지역지표 사례 개요
IV 당진시 발전지표안 개선 방향
1 영역 및 분야 구성의 개선 방향
2 개별지표 구성의 개선 방향
3 지표체계 구성의 개선 방향
부록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