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충청남도 지역안전지수 통계보고서2019는 감염병 생활안전 자살 등 5개 분야의 최근 3년간 통계를 분석한 자료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충남의 감염병 사망자는 2017년에 가장 많았으며 천안시와 논산시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결핵 사망은 남성이 여성보다 두 배 이상 많았고 65세 이상 고령층에서 사망자가 두드러졌다
생활안전구급 분야에서는 2016년 사이 총 44만 건 이상의 구급 환자가 발생했으며 천안시가 가장 많았다 구급사고는 오전 10시 오후 1시에 집중되며 연령대별로는 1564세가 가장 많았으나 군 단위 지역에서는 65세 이상 환자가 더 많았다 사고 유형 중 낙상이 가장 흔하며 발생 장소는 주거지와 도로에서 많았다
자살 관련 상담은 3년간 514건으로 매년 30 이상 증가했고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다 자살 상담자 중 대부분은 1564세였으며 특히 천안시와 당진시에서 증가 폭이 컸다 이는 정신건강 상담 수요 증가와 예방 정책 필요성을 시사한다
교통사고 발생은 천안 아산 논산 등 대도시에서 집중되었으며 사망자 수는 남성이 많았고 대부분은 운전자 과실에 기인했다 고령자 교통사고 비율도 점차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화재사고는 계절적 요인이 크게 작용했으며 겨울철에 집중됐다 주 원인은 부주의였으며 주택 화재 비율이 높았다 화재 사망자 중 상당수가 65세 이상 고령층이었다
전반적으로 고령화에 따른 사고 취약성과 도시 집중도가 확인되며 맞춤형 예방 정책 및 응급 대응 체계 강화를 위한 지역별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생활안전구급 분야에서는 2016년 사이 총 44만 건 이상의 구급 환자가 발생했으며 천안시가 가장 많았다 구급사고는 오전 10시 오후 1시에 집중되며 연령대별로는 1564세가 가장 많았으나 군 단위 지역에서는 65세 이상 환자가 더 많았다 사고 유형 중 낙상이 가장 흔하며 발생 장소는 주거지와 도로에서 많았다
자살 관련 상담은 3년간 514건으로 매년 30 이상 증가했고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다 자살 상담자 중 대부분은 1564세였으며 특히 천안시와 당진시에서 증가 폭이 컸다 이는 정신건강 상담 수요 증가와 예방 정책 필요성을 시사한다
교통사고 발생은 천안 아산 논산 등 대도시에서 집중되었으며 사망자 수는 남성이 많았고 대부분은 운전자 과실에 기인했다 고령자 교통사고 비율도 점차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화재사고는 계절적 요인이 크게 작용했으며 겨울철에 집중됐다 주 원인은 부주의였으며 주택 화재 비율이 높았다 화재 사망자 중 상당수가 65세 이상 고령층이었다
전반적으로 고령화에 따른 사고 취약성과 도시 집중도가 확인되며 맞춤형 예방 정책 및 응급 대응 체계 강화를 위한 지역별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목차
1 최근 3년간 감염병 사고 발생 현황 분석
1 결핵 및 감염병
2 감염병
2 최근 3년간 생활안전분야구급 사고 발생 현황 분석
3 최근 3년간 자살사고 발생 현황 분석
1 자살 관련 상담
2 자살 시도
4 최근 3년간 교통사고 발생 현황 분석
5 최근 3년간 화재사고 발생 현황 분석
1 결핵 및 감염병
2 감염병
2 최근 3년간 생활안전분야구급 사고 발생 현황 분석
3 최근 3년간 자살사고 발생 현황 분석
1 자살 관련 상담
2 자살 시도
4 최근 3년간 교통사고 발생 현황 분석
5 최근 3년간 화재사고 발생 현황 분석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조성
3세대 산업단지 조성방안 연구 2011. 07. 25
농촌지역의 전원주거단지 조성 실태 및 거주자 특성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2011. 01. 01
충남 농공단지 조성정책의 효과분석 2023. 02. 12
추후 공원녹지조성에 대한 조성 지침서 작성 2012. 03. 21
공주산성전통시장 내 쉼터 공간(미니수목원) 조성방안(안) 2012. 01. 30
-
오혜성
보령시 지역안전지수 개선 컨설팅 2019. 04. 16
도민 안전의식(인식) 수준 조사 2018. 10. 29
중부권 재난안전 연구기관 간 MOU 세미나(CNI세미나2019-022) 2019. 04. 15
안전포럼 활성화 워크숍(CNI세미나2019-080) 2019. 03. 11
IoT 기반 스마트 수문관리로 행복한 안전충남 실현 2019. 02. 11
지역안전지수 향상을 위한 합동워크숍(CNI세미나2019-031) 2019. 0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