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재난 유형별 위험도 분석 결과 화재 교통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감염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충남의 지역안전등급은 대체로 중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특히 화재와 자살 안전사고 등은 취약지역이 다수 분포하며 고령자장애인다문화가정 등 취약계층 보호가 시급한 상황이다
충남의 인구는 증가하고 있으나 고령화 속도는 전국 평균을 상회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은 인구 감소와 함께 노령화지수가 급속히 상승하고 있다 외국인 및 다문화가정 증가도 지역사회 통합과 안전관리 측면에서 새로운 도전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안전충남 2050의 비전은 사람 중심의 포용적 안전사회 구현이며 4대 목표로는 선제적 재난대응 재난취약계층 보호 안전문화 정착 과학기반 안전관리 체계 구축이 제시되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세부 전략은 예방대비대응복구 전주기 통합 모델을 바탕으로 설계되었다
실행계획에는 생활안전지도 스마트 재난플랫폼 재난심리지원센터 고령자 맞춤형 교육 안전마을 만들기 빅데이터 기반 분석 시스템 구축 등 300개 이상 세부과제가 포함되었다 예산계획과 평가체계도 함께 마련되어 정책 지속성과 실행력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병행된다
결론적으로 안전충남 2050은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을 넘어서 안전을 통한 삶의 질 향상과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하는 전략적 계획이며 행정기술문화적 대응이 종합적으로 연계된 실행기반 마련이 핵심이다
목차
1 미래 환경과 재난 안전관리 여건 변화
2 충청남도 재난 및 안전관리 환경
3 분야별 안전관리 여건
4 자연재난 피해현황
5 충남의 재난관리 여건 SWOT분석
Ⅱ 안전충남 2050 비전 개요
1 비전 수립 배경
2 비전과 목표 추진과제
Ⅲ 안전충남 2050 실행계획 전략수립
1 실행계획 수립 방향
2 실행계획 추진체계
3 실행계획 목표
Ⅳ 안전충남 2050 실행계획 세부사업
Ⅴ 선도사업
Ⅵ 안전충남 2050 계획의 집행과 관리
1 예산계획
2 평가계획
부록 1
1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재난안전분야 정책 대응방향
2 드론산업과 재난안전분야 정책 대응방향
부록 2
1 기타 도민의견 제안 프로그램
부록 3
1 실행과제프로그램 사업비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조성
3세대 산업단지 조성방안 연구 2011. 07. 25
농촌지역의 전원주거단지 조성 실태 및 거주자 특성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2011. 01. 01
충남 농공단지 조성정책의 효과분석 2023. 02. 12
추후 공원녹지조성에 대한 조성 지침서 작성 2012. 03. 21
공주산성전통시장 내 쉼터 공간(미니수목원) 조성방안(안) 2012. 01. 30
-
박근오
2017년 제2차 공공투자연구포럼(CNI세미나2017-004) (박근오,심우재,정형철) 2017. 02. 03
지역안전지수 향상 방안 모색을 위한 시군 담당공무원 워크숍(CNI세미나2018-017)(신진동,박근오) 2018. 03. 15
안전충남 2050 비전위원회 워크숍(CNI세미나2017-009) (백운성, 조민상, 이주호) 2017. 03. 10
생활안전점검 종합분석 및 개선방안 2020. 01. 06
[자체현안]탈석탄 및 그린뉴딜 추진 전략계획 수립 2020. 12. 16
[우리집 생활안전온도 점검하기] 추진결과 참여자 만족도 조사결과(4~6월) 분석 2017. 05. 23
-
목소리
연구원저서-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스무가지 목소리 2021. 04. 23
정부 간 관계 재정립에 따른 충남의 자치분권 전략과 과제 2022. 03. 01
우리술현장 연구회 2024. 02. 26
2차 사회적경제 포럼(CNI세미나2019-061) 2019. 07. 19
충청남도 주거복지센터 운영방향 연구 2022. 03. 01
(CNI세미나 2024-94)2024년 충남연구원 로컬크리에이션 연구회 2차 현지탐방&세미나 2024. 11.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