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이 보고서는 충청남도의 고령화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공공건축 분야에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한 연구다 충남은 2035년까지 고령인구 비율이 약 3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같은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공공시설 이용 환경의 전면적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연령 장애 유무에 상관없이 누구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설계하는 개념으로 기존의 무장애디자인BarrierFree보다 포괄적이다 특히 고령자의 활동반경이 주거지 중심에서 공공공간으로 확대됨에 따라 문화시설 의료시설 복지시설 교통시설 등 다양한 유형의 공공건축물에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이 필요하다
조사 대상은 노령화지수가 급속히 증가 중인 충남 내 8개 시군으로 각 지역 내 노인복지시설 주민센터 문화시설 등을 중심으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여부와 개선 필요 요소를 진단하였다 이 과정에서 도출된 진단지표는 계단경사로 접근성 안내 체계 조명 안전 손잡이 설치 등 세부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실측과 현장 조사 방식으로 평가되었다
분석 결과 일부 시설은 BFBarrierFree 인증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고령자의 실제 이용 편의성과 안전 측면에서 미흡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경사로 각도 불일치 손잡이 미설치 복잡한 동선 낮은 시인성 등의 문제가 지적되었으며 고령자의 주요 낙상 요인인 미끄러운 바닥이나 턱 조명 부족 등도 빈번히 나타났다
해외 및 국내 사례 분석을 통해 복합적이고 통합적인 공간 설계와 사용자 참여형 디자인이 효과적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특히 영국 일본 등의 사례는 고령자뿐 아니라 전 세대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강조하며 지자체 주도의 유니버설디자인 전략과 조례 제정이 중요한 기반이 됨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충남 공공건축물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수준이 아직 초기 단계이며 제도적 정비와 함께 실질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이를 위해 유니버설디자인 전담 부서 설치 지침 및 진단체계의 고도화 사용자 중심 설계 철학 확산 등이 요구되며 궁극적으로는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과 공공건축의 지속가능한 질적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안하고 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연령 장애 유무에 상관없이 누구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설계하는 개념으로 기존의 무장애디자인BarrierFree보다 포괄적이다 특히 고령자의 활동반경이 주거지 중심에서 공공공간으로 확대됨에 따라 문화시설 의료시설 복지시설 교통시설 등 다양한 유형의 공공건축물에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이 필요하다
조사 대상은 노령화지수가 급속히 증가 중인 충남 내 8개 시군으로 각 지역 내 노인복지시설 주민센터 문화시설 등을 중심으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여부와 개선 필요 요소를 진단하였다 이 과정에서 도출된 진단지표는 계단경사로 접근성 안내 체계 조명 안전 손잡이 설치 등 세부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실측과 현장 조사 방식으로 평가되었다
분석 결과 일부 시설은 BFBarrierFree 인증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고령자의 실제 이용 편의성과 안전 측면에서 미흡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경사로 각도 불일치 손잡이 미설치 복잡한 동선 낮은 시인성 등의 문제가 지적되었으며 고령자의 주요 낙상 요인인 미끄러운 바닥이나 턱 조명 부족 등도 빈번히 나타났다
해외 및 국내 사례 분석을 통해 복합적이고 통합적인 공간 설계와 사용자 참여형 디자인이 효과적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특히 영국 일본 등의 사례는 고령자뿐 아니라 전 세대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강조하며 지자체 주도의 유니버설디자인 전략과 조례 제정이 중요한 기반이 됨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충남 공공건축물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수준이 아직 초기 단계이며 제도적 정비와 함께 실질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이를 위해 유니버설디자인 전담 부서 설치 지침 및 진단체계의 고도화 사용자 중심 설계 철학 확산 등이 요구되며 궁극적으로는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과 공공건축의 지속가능한 질적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안하고 있다
목차
1 서론
11 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13 선행연구 고찰
2 이론적 배경 및 분석
21 유니버설디자인의 경향
211 유니버설디자인 개념 및 유형
212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제도
213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현황
22 고령화사회의 흐름과 관련제도
221 고령화사회에 대한 대응
222 고령화사회 관련 정책 및 제도
23 고령자 활동분석
231 고령자의 활동유형
232 고령자 활동 장소도출
233 고령자의 활동 특징
24 소결
3 유니버설디자인 국내외 사례 및 분석
31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사례
311 가로 보행 환경
312 나래울종합사회복지관
313 꿈틀꿈틀놀이터
314 한국복지대학교
32 해외 유니버설디자인 사례
321 가로 보행 환경
322 노르웨이 성 올라브 병원
323 미국 매지컬 브릿지 놀이터
324 캐나다 인권 박물관
325 일본 행복촌
33 소결 사례 분석 및 시사점
4 유니버설디자인 진단지표
41 유니버설디자인 진단지표 분석
411 유니버설디자인 진단지표 선행연구
412 유니버설디자인 선행연구 분석
413 진단지표 도출
5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실태조사
51 유니버설디자인 실태조사 계획
511 조사 방법 및 범위
512 실태조사 세부대상
52 유니버설디자인 실태조사 및 진단
521 지자체 실태조사
522 조사결과 분석 및 진단
523 결론
11 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13 선행연구 고찰
2 이론적 배경 및 분석
21 유니버설디자인의 경향
211 유니버설디자인 개념 및 유형
212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제도
213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현황
22 고령화사회의 흐름과 관련제도
221 고령화사회에 대한 대응
222 고령화사회 관련 정책 및 제도
23 고령자 활동분석
231 고령자의 활동유형
232 고령자 활동 장소도출
233 고령자의 활동 특징
24 소결
3 유니버설디자인 국내외 사례 및 분석
31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사례
311 가로 보행 환경
312 나래울종합사회복지관
313 꿈틀꿈틀놀이터
314 한국복지대학교
32 해외 유니버설디자인 사례
321 가로 보행 환경
322 노르웨이 성 올라브 병원
323 미국 매지컬 브릿지 놀이터
324 캐나다 인권 박물관
325 일본 행복촌
33 소결 사례 분석 및 시사점
4 유니버설디자인 진단지표
41 유니버설디자인 진단지표 분석
411 유니버설디자인 진단지표 선행연구
412 유니버설디자인 선행연구 분석
413 진단지표 도출
5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실태조사
51 유니버설디자인 실태조사 계획
511 조사 방법 및 범위
512 실태조사 세부대상
52 유니버설디자인 실태조사 및 진단
521 지자체 실태조사
522 조사결과 분석 및 진단
523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오병찬
[기반강화]2016 충남옥외광고 워크숍 개최 (김정수,오병찬) 2016. 09. 29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2021. 01. 01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디자인 전문저널 2019. 04. 15
[기반강화]2016년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자문위원 워크숍 2016. 09. 30
센터 하반기 워크숍 2021. 10. 01
-
박혜은
[기반강화]2016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상반기 워크숍 2016. 04. 27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2021. 01. 01
[기반강화]2016년 충남공공디자인센터 하반기 워크숍 (유현준, 황진찬, 강원묵, 임중구) 2016. 12. 21
센터 하반기 워크숍 2021. 10. 01
충남 건축물 색채 가이드라인 수립 2014. 06. 02
-
김성희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디자인 전문저널 2019. 04. 15
[기반강화]2016 공공디자인컨설팅 백서 2016. 01. 01
공공건축 사업계획 사전검토 종합보고서 발간 2023. 01. 05
2018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18. 01. 01
컨설팅 지원자료집 발간 2022. 01.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