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플러스

내용
충남의 독거노인 91903명을 대상으로 안전센터 병의원 보건소 경로당 등 기초생활시설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 안전센터 기준 접근 취약 노인은 54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병의원 접근성은 차량 10분 거리 기준으로 127가 취약군으로 분류되며 시군 경계나 격오지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의 비중이 높았다 찾아가는 의료서비스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보건소 접근성은 평균 거리 16km를 기준으로 분석했으며 전체의 458가 취약군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령시와 천안시 일부 읍면동은 100 취약으로 신설 필요성이 제기됐다
경로당은 직선거리 400m 이내 접근 여부를 기준으로 분석했고 216가 취약군으로 분류되었다 경로당은 커뮤니티 기능과 재난 시 피난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종합적으로 3개 이상 인프라 접근성이 취약한 독거노인은 전체의 134이며 특히 태안군과 청양군 보령시 등에서 집중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정책 제언으로는 소방본부와의 독거노인 정보 공유 격오지 대상 의료서비스 확대 보건소 신설 경로당 설치 확대 등 시설과 정보의 공간적 형평성 확보를 위한 행정적 대응이 요구되었다
병의원 접근성은 차량 10분 거리 기준으로 127가 취약군으로 분류되며 시군 경계나 격오지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의 비중이 높았다 찾아가는 의료서비스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보건소 접근성은 평균 거리 16km를 기준으로 분석했으며 전체의 458가 취약군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령시와 천안시 일부 읍면동은 100 취약으로 신설 필요성이 제기됐다
경로당은 직선거리 400m 이내 접근 여부를 기준으로 분석했고 216가 취약군으로 분류되었다 경로당은 커뮤니티 기능과 재난 시 피난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종합적으로 3개 이상 인프라 접근성이 취약한 독거노인은 전체의 134이며 특히 태안군과 청양군 보령시 등에서 집중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정책 제언으로는 소방본부와의 독거노인 정보 공유 격오지 대상 의료서비스 확대 보건소 신설 경로당 설치 확대 등 시설과 정보의 공간적 형평성 확보를 위한 행정적 대응이 요구되었다
목차
1 안전센터 접근이 취약한 독거노인 수의 공간적 분포
2 전체 독거노인 중 안전센터 접근 취약 노인 비중
3 병의원 접근이 취약한 독거노인 수의 공간적 분포
4 전체 독거노인 중 병의원 접근 취약 노인 비중
5 보건소 접근이 취약한 독거노인의 공간적 분포
6 전체 독거노인 중 보건소 접근 취약 노인 비중
7 경로당 접근이 취약한 독거노인의 공간적 분포
8 전체 독거노인 중 경로당 접근 취약 노인 비중
9 종합 접근성 취약 독거노인의 공간적 분포
10 종합 접근성 취약 독거노인 비중
2 전체 독거노인 중 안전센터 접근 취약 노인 비중
3 병의원 접근이 취약한 독거노인 수의 공간적 분포
4 전체 독거노인 중 병의원 접근 취약 노인 비중
5 보건소 접근이 취약한 독거노인의 공간적 분포
6 전체 독거노인 중 보건소 접근 취약 노인 비중
7 경로당 접근이 취약한 독거노인의 공간적 분포
8 전체 독거노인 중 경로당 접근 취약 노인 비중
9 종합 접근성 취약 독거노인의 공간적 분포
10 종합 접근성 취약 독거노인 비중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최돈정
모바일 빅데이터와 지역자료 연계를 통한 공공정책 발굴을 위한 연구회(CNI세미나2017-025) (최영진,최돈정) 2017. 03. 27
2017 제2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033) (최돈정, 양규석, 나상일, 장동호, 김태우) 2017. 04. 26
2017 제7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117) (이상옥,황명화,최진영,최돈정) 2017. 09. 18
2016 제7차 충남미래연구포럼_마이크로데이터 기반의 분석과 활용방안(최돈정, 박성인, 류홍철) 2016. 08. 31
2017 제10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153)(최진영,최돈정) 2017. 11. 27
충남연구원 개원22주년 기념세미나_데이터에 눈뜨다, 스마트 충청남도(CNI세미나-044)(김승범, 하도훈, 최돈정) 2017. 06. 15
-
유무상
지역단위 (가축분뇨)양분관리제 시범사업 2019. 05. 22
제1회~5회 환황해포럼의 주요 정책이슈 분석 2020. 02. 01
충청남도 문화서비스 현황 및 확대 방안 2019. 04. 23
(충남 정책지도 제 26호) 노인복지 시리즈 1: 충남 취약노인의 공간분포 2019. 04. 16
디지털 운행기록계(DTG)데이터를 활용한 천안시 시내버스 운전행태 분석 2019. 08.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