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해외출장보고서)갯벌습지복원 선진지(네덜란드) 견학 해외출장 결과보고
출판/해외출장

(해외출장보고서)갯벌습지복원 선진지(네덜란드) 견학 해외출장 결과보고

기간
2019. 11. 09 ~ 2019. 11. 13
연구자
윤종주
키워드
해수유통,생태복원,습지,네덜란드,간척지,하굿둑,관광자원,수질개선
다운로드

(해외출장보고서) 2019.11. 연안하구복원 선진지 견학 해외출장결과 보고(네덜란드)(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네덜란드와 벨기에 방문은 해수유통과 연안생태 복원 사례를 조사하고 충남 하구 복원 정책에 접목하기 위해 이뤄졌다 워터던 습지공원은 간척농지를 갯벌로 환원해 생태관광지로 개발한 사례로 해수유통과 철새 도래지 조성 등을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있다
라메호르 복원지는 해수유입이 단절된 유휴지를 다시 염습지로 복원한 사례로 수문 조작을 통해 해수유통을 시행하며 지속적인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 중이다 휘어스호는 담수호 수질악화를 해수유통으로 개선해 요트 다이빙 등 레저관광지가 되었고 부남호 벤치마킹 사례로 적합하다
볼케락호는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지점으로 해수유통 추진이 논의되고 있지만 농업용수 활용에 따른 갈등으로 결정이 2032년 이후로 연기되었다 통선문은 해수와 담수의 혼합을 방지하는 기술을 적용한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오스터스켈드 댐은 해일 방지와 생태보전을 동시에 실현한 사례로 24시간 개방형 수문을 도입해 자유로운 해수유통을 허용하고 있다 하굿둑 주변 농지는 점차 관광지로 전환되었으며 수로를 통해 선박이 내륙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전체 사례는 수질개선과 해양생태 복원을 기반으로 생태관광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충남에서도 부남호 등 하구복원 정책 추진 시 수질개선 농업 대체수원 확보 주민 수용성 확보를 위한 장기적 협의가 필요하다

목차

I 출장기간
II 출장자
III 출장국
IV 방문기관
1 네덜란드갯벌 및 하구복원 현장
2 네덜란드 젤란드 주 정부청사미델버그
V 출장일정
VI 출장결과
1 워터던Waterdunen 습지공원 간척사업으로 농경지화한 곳을 해수유통을 통하여 염습지를 복원
2 라메호르Rammegors 갯벌습지 복원지 닫힌 방조제에 해수유통구를 설치하여 염습지를 복원
3 휘어스호잔트크리크 댐 및 배후에 위치한 내륙 마리나항리조트 해수유통터널 설치 방식을 통한 호소 내 수질 복원
4 볼케락호 크라머Kremmer 방조제하굿둑 호소 내 수질악화로 담수호 해수유통 추진 예정지
5 오스터스켈드 댐하굿둑 하구전체를 막기 위한 방조제 대신 해수유통이 가능한 댐 형식의 수문 도입 사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