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내용
본 보고서는 충청남도 당진시 내 신규 폐목재 재활용업 사업장이 인근 지역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스크리닝 모델을 활용하여 예측한 연구이다 당진시는 충남 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가장 많고 PM10 초과일수도 높은 지역으로 신규 오염원 도입에 대한 철저한 사전 검토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AERSCREEN 모델을 활용하여 사업장 연돌에서 배출되는 PM10의 연평균 농도가 대기환경기준을 초과할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는 사업장 배출량을 두 가지 조건으로 나누어 예측하였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신고서상의 최대 배출량00663gsec 두 번째는 이의 80 수준00532gsec으로 설정하였다 모델링 결과 두 시나리오 모두 연간 평균 PM10 농도에서 국가대기환경기준50을 초과하였으며 특히 당진시 자체의 평균 농도도 이미 4448 수준으로 높은 편이어서 사업장 운영 시 환경기준을 초과할 가능성이 명확히 제시되었다
스크리닝 모델은 보수적인 예비검토 모델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보다 정교한 권장모델AERMOD 등을 활용한 정밀 분석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 모델을 통해서도 기준 초과가 예상된다는 점은 실제로는 더 높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암시한다 특히 최악의 기상조건을 적용한 결과에서 시간당 최대 6709 24시간 평균 4026 연평균 6709가 가중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등급별 폐목재의 특성이 미제공되어 등급별 배출 특성에 따른 추가 분석은 진행되지 못했으나 일반적으로 저등급 목재일수록 유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높을 수 있으므로 연료 조정을 통해 유해물질 저감이 가능할 것이라는 제언이 포함되었다 폐목재 등급 조정이 가능하다면 유해물질 배출을 다소 줄일 수는 있으나 미세먼지 총량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당진시는 신규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설치에 있어 건강권 보호와 환경복지 차원에서 면밀한 영향 검토가 필요하며 특히 대기배출 총량제가 시행될 예정인 상황에서는 지역 차원의 대기질 관리 전략과 오염물질 배출 억제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집진시설 강화 연료 등급 관리 정밀 모델링 등을 포함한 다각도의 대응책이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단순한 예측에 그치지 않고 신규 사업장 허가 전 단계에서의 사전 환경영향평가 중요성과 지역 대기환경 질적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관리 필요성을 강조하며 향후 대기환경기준 강화 가능성에 대응하는 장기적인 정책 검토를 제안하고 있다
연구는 사업장 배출량을 두 가지 조건으로 나누어 예측하였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신고서상의 최대 배출량00663gsec 두 번째는 이의 80 수준00532gsec으로 설정하였다 모델링 결과 두 시나리오 모두 연간 평균 PM10 농도에서 국가대기환경기준50을 초과하였으며 특히 당진시 자체의 평균 농도도 이미 4448 수준으로 높은 편이어서 사업장 운영 시 환경기준을 초과할 가능성이 명확히 제시되었다
스크리닝 모델은 보수적인 예비검토 모델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보다 정교한 권장모델AERMOD 등을 활용한 정밀 분석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 모델을 통해서도 기준 초과가 예상된다는 점은 실제로는 더 높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암시한다 특히 최악의 기상조건을 적용한 결과에서 시간당 최대 6709 24시간 평균 4026 연평균 6709가 가중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등급별 폐목재의 특성이 미제공되어 등급별 배출 특성에 따른 추가 분석은 진행되지 못했으나 일반적으로 저등급 목재일수록 유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높을 수 있으므로 연료 조정을 통해 유해물질 저감이 가능할 것이라는 제언이 포함되었다 폐목재 등급 조정이 가능하다면 유해물질 배출을 다소 줄일 수는 있으나 미세먼지 총량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당진시는 신규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설치에 있어 건강권 보호와 환경복지 차원에서 면밀한 영향 검토가 필요하며 특히 대기배출 총량제가 시행될 예정인 상황에서는 지역 차원의 대기질 관리 전략과 오염물질 배출 억제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집진시설 강화 연료 등급 관리 정밀 모델링 등을 포함한 다각도의 대응책이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단순한 예측에 그치지 않고 신규 사업장 허가 전 단계에서의 사전 환경영향평가 중요성과 지역 대기환경 질적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관리 필요성을 강조하며 향후 대기환경기준 강화 가능성에 대응하는 장기적인 정책 검토를 제안하고 있다
목차
제1장 연구 개요
제1절 연구 배경
제2절 연구 목적
제2장 스크리닝 모델
제1절 스크리닝 모델의 개념과 특징
제2절 스크리닝 모델 활용 절차
제3장 미세먼지 농도예측
제1절 배출량과 농도예측
제2절 AERSCREEN 모델 결과
제4장 제언
제5장 참고자료
부록 AERSCREEN 모델결과
제1절 연구 배경
제2절 연구 목적
제2장 스크리닝 모델
제1절 스크리닝 모델의 개념과 특징
제2절 스크리닝 모델 활용 절차
제3장 미세먼지 농도예측
제1절 배출량과 농도예측
제2절 AERSCREEN 모델 결과
제4장 제언
제5장 참고자료
부록 AERSCREEN 모델결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상신
공공부문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지원사업 설명회(이상신,유종익) 2015. 06. 18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탄소중립시대 기후대기환경 연구 현황과 지자체간 공동 연구 방향 검토(CNI-40) 2022. 06. 30
기후변화 전문기관 연구협의체 세미나 및 협의체 운영회의(CNI세미나2018-014)(김태호,윤영배,박수진,이상신,조경두) 2018. 03. 15
대기측정분석을 통한 기여도 추정연구 세미나(CNI세미나2021-32) 2021. 10. 14
대기방지시설 전문가 초청 세미나(CNI세미나 2022-058) 2022. 0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