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3•1운동과 세계 평화(CNI세미나2019-017)
연구정책조성/세미나

3•1운동과 세계 평화(CNI세미나2019-017)

기간
2019. 03. 14 ~ 2019. 03. 14
연구자
윤황,이인배,오혜정,박경철,국민소,이유나
키워드
3.1운동,비폭력,민주공화제,임시정부,독립운동,세계평화,민족자결,항일투쟁
다운로드

3.1운동과 세계평화.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31운동은 일제의 무단 통치에 대한 저항과 민권 자주 민주 의식의 고양 속에서 발생하였다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28독립선언 등의 영향도 컸다 운동의 결과로 상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며 이후 파리장서운동 등의 외교 투쟁 무장 투쟁 한중한러한미 연대가 전개되었다 이는 반제국주의와 자주적 민주공화국 건설이라는 이중 혁명의 의미를 지녔다
임시정부는 공화제를 채택하고 10개조의 임시헌장을 통해 평등 자유 교육 납세 병역의 의무 등을 규정하였다 이는 대한민국의 국호 국체와 정체의 기초가 되었으며 민주국가로서의 법적제도적 정통성을 확보하는 계기가 되었다 운동은 비폭력 자주 반외세 평화주의 등의 정신으로 진행되었으며 유관순 윤봉길 김원봉 등의 독립운동가들의 활동은 항일 투쟁 정신의 상징으로 남았다
31운동은 중국의 54운동 인도의 비폭력 독립운동 베트남의 외교 투쟁 등 아시아 여러 나라의 민족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쑨원의 삼민주의 간디의 평화사상 호찌민의 외교 활동 등에서 그 연계가 확인된다 또한 제국주의 하의 피억압 국가들에게 독립 의식을 고취시켰으며 국제 사회에서 한국인의 평화 정신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31운동은 이후 반외세 반독재 민주화 운동으로 이어졌으며 촛불혁명은 그 정신을 계승한 현대적 표현으로 언급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세계 평화를 위한 실천의 기반으로 제시되었다

목차

1 31운동 이전의 세계 정세
2 31운동 이전의 국내 정세
3 31운동의 발생 원인과 결과
4 31운동의 정신
5 31운동이 세계 평화에 미친 영향
6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