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충남지역 수원청개구리 서식지 보전을 위한 정책 워크샵
연구정책조성/워크숍

충남지역 수원청개구리 서식지 보전을 위한 정책 워크샵

기간
2019. 09. 18 ~ 2019. 09. 18
연구자
정옥식,장하라
키워드
수원청개구리,농업습지,서식지파괴,종다양성,기후변화,보호구역,농업관행,멸종위기종
다운로드

발표1. Suweonensis conservation-Amael Borzee.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발표2. 우리나라 멸종위기 양서파충류 현황과 복원계획-이정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발표3. 수원청개구리 생태와 충남지역 서식현황-김종범.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발표4. 수원사례(함께 살아야할 수원청개구리)-홍은화.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발표5. 파주사례(파주 수원청개구리 서식지 보존 활동 및 과제)-남인우.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세계적으로 양서류는 6번째 대멸종의 주요 피해군으로 서식지 파괴 농약 등 화학오염 질병 외래종 기후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위협받고 있다 한국에서도 수원청개구리Dryophytes suweonensis 금개구리 맹꽁이 물두꺼비 등 다수의 양서류가 위협을 받고 있으며 이 중 수원청개구리는 논에서 번식하며 일본청개구리와 공존하는 특성을 가진다
수원청개구리는 1000개 이상의 지점에서 조사된 결과 123개 지점에서만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상당수는 간척지와 같이 인위적으로 형성된 환경에 속한다 보호구역과의 중첩은 거의 없으며 도시화와 농지 전환에 따른 서식지 상실이 심각하다 유일하게 반자연적인 서식지는 한국버드나무가 둘러싼 습지로 보고되었다
조사에 따르면 수원청개구리는 세 지역아산예산당진 부여 논산에 개체군이 분포하고 있으며 북부 개체군은 고속도로 건설로 감소세를 보인다 논은 개체군 간 연결성을 높이는 반면 겨울철 배수로 인해 월동지로는 부적합하다 농사 일정과 번식 시기의 동기화는 유리하지만 경운 및 모내기 시 알과 올챙이의 대량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시멘트로 된 수로는 피난처 기능이 부족해 청개구리류가 기피하며 식생이 있는 자연형 수로가 낮 동안 은신처로 기능한다 개체군 조사는 20152017년 동안 이루어졌으며 95개 군집 중 14개는 고립된 개체군으로 확인되었다 일부 지역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으며 개체군 존속 가능성 분석PVA 결과 100년 이내에 99 이상의 멸종 확률이 제시되었다
실제 보호지역에는 서식지가 포함되지 않으며 일월 복원지에서의 재도입 시도는 초기 번식 성공에도 불구하고 인간 활동으로 인해 실패했다 보호구역 지정 농약제초제 사용 제한 논 주변 풀베기 제한 한국버드나무와 고초생 유지 등 서식지 미시환경 보호가 정책적으로 제안되었다
이러한 정책은 람사르 협약의 지침 하에 농민의 농업활동을 보장하면서 동시에 종 보호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원청개구리 친화적 인증제 도입 등도 제시되었다

목차

1 World amphibian crisis
2 Multiple threats
3 Threatened amphibian species from the Republic of Korea
4 Status of Dryophytes suweonensis
5 Range description for all Asian Dryophytes species
6 Is rice agriculture important in Korea
7 Amphibians and modified landscapes
8 Current agriculture does not help
9 Range and dynamics
10 D suweonensis populations
11 Field surveys in DPRK
12 Presence D suweonensis
13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rice paddies
14 Synchrony between flooding and breeding
15 Paddies advantageous for breeding
16 Paddies calling props
17 Impossible hibernation in paddies
18 Impact of farming practices
19 Irrigation ditches
20 Population dynamics
21 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for Dryophytes suweonensis
22 A need for protected areas
23 Reintroduction is possible
24 Policy recommendations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