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충청남도 2019년도 온실가스 감축 이행평가 및 2020년도 감축계획 수립연구
정책지원

충청남도 2019년도 온실가스 감축 이행평가 및 2020년도 감축계획 수립연구

기간
2020. 05. 01 ~ 2020. 08. 31
연구책임자
이상신
연구자
신우석,윤수향
키워드
온실가스,감축계획,충청남도,배출전망치,감축실적,BAU,이행평가,사업비
다운로드

충청남도 2019년도 온실가스 감축 이행평가 및 2020년도 감축계획 수립연구(원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충청남도 2019년도 온실가스 감축 이행성과와 2020년도 감축계획 수립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정량화 가능한 사업들을 중심으로 감축량과 투자 실적을 분석하고 향후 계획을 정리하였다
2019년에는 총 54개 사업 중 20개 사업이 정량화 가능하여 감축 실적을 산정하였으며 총 178195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약 958만 tCO₂eq의 온실가스를 감축하였다 특히 가정부문은 목표 대비 339로 초과 달성했고 상업공공부문도 931 수준으로 근접했다 반면 농축산부문은 감축 목표 달성률이 66로 저조한 수준이었고 폐기물부문은 별도 감축목표 없이 실적만 산정되었다 전반적으로는 감축 목표 대비 146만 tCO₂eq 초과 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에는 총 50개 사업 중 14개가 정량화 가능하며 10427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약 812만 tCO₂eq의 감축을 계획하고 있다 이는 누적 감축량 기준으로 2011년 대비 약 6281만 tCO₂eq에 달하며 감축률은 30로 추산된다 이는 연도별 감축실적이 꾸준히 증가해 온 결과이며 충남의 감축 노력은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다만 2020년부터는 제2차 기후변화 종합계획 이행 체계에 따라 감축목표와 평가방식이 변경된다 기존 1차 계획20112020년에서는 누적 감축실적이 중점이었지만 2차 계획20212030년부터는 연도별 실적 중심으로 관리되며 감축목표도 BAU 대비 226로 강화되었다 이와 함께 배출전망치BAU도 국가기준으로 재산정되며 충남의 권한 범위 내에서 23 감소한 수치로 반영되었다
이에 따라 충남도는 기존 감축성과를 바탕으로 2차 계획체계에 부합하는 새로운 이행평가체계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향후에는 권역별부문별 감축 책임 강화와 함께 실적 중심의 평가체계 운영이 요구되며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지속적인 사업 확대와 투자 정량적 데이터 기반의 평가체계 보완이 핵심 과제로 제시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2019년도 감축이행 평가
감축 사업 개요
부문별 감축 실적 분석
사업비 투입 현황
제3장 2020년도 감축계획 수립
정량화 가능 사업 선정
부문별 감축 목표 및 예상
제4장 감축률 및 BAU 대비 분석
연도별 감축 실적 및 계획 비교
1차 2차 계획 비교 및 이행평가 체계
제5장 결론 및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