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2019년에는 총 54개 사업 중 20개 사업이 정량화 가능하여 감축 실적을 산정하였으며 총 178195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약 958만 tCO₂eq의 온실가스를 감축하였다 특히 가정부문은 목표 대비 339로 초과 달성했고 상업공공부문도 931 수준으로 근접했다 반면 농축산부문은 감축 목표 달성률이 66로 저조한 수준이었고 폐기물부문은 별도 감축목표 없이 실적만 산정되었다 전반적으로는 감축 목표 대비 146만 tCO₂eq 초과 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에는 총 50개 사업 중 14개가 정량화 가능하며 10427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약 812만 tCO₂eq의 감축을 계획하고 있다 이는 누적 감축량 기준으로 2011년 대비 약 6281만 tCO₂eq에 달하며 감축률은 30로 추산된다 이는 연도별 감축실적이 꾸준히 증가해 온 결과이며 충남의 감축 노력은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다만 2020년부터는 제2차 기후변화 종합계획 이행 체계에 따라 감축목표와 평가방식이 변경된다 기존 1차 계획20112020년에서는 누적 감축실적이 중점이었지만 2차 계획20212030년부터는 연도별 실적 중심으로 관리되며 감축목표도 BAU 대비 226로 강화되었다 이와 함께 배출전망치BAU도 국가기준으로 재산정되며 충남의 권한 범위 내에서 23 감소한 수치로 반영되었다
이에 따라 충남도는 기존 감축성과를 바탕으로 2차 계획체계에 부합하는 새로운 이행평가체계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향후에는 권역별부문별 감축 책임 강화와 함께 실적 중심의 평가체계 운영이 요구되며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지속적인 사업 확대와 투자 정량적 데이터 기반의 평가체계 보완이 핵심 과제로 제시된다
목차
제2장 2019년도 감축이행 평가
감축 사업 개요
부문별 감축 실적 분석
사업비 투입 현황
제3장 2020년도 감축계획 수립
정량화 가능 사업 선정
부문별 감축 목표 및 예상
제4장 감축률 및 BAU 대비 분석
연도별 감축 실적 및 계획 비교
1차 2차 계획 비교 및 이행평가 체계
제5장 결론 및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윤수향
대기측정분석을 통한 기여도 추정연구 세미나(CNI세미나2021-32) 2021. 10. 14
기후변화 적응 전문가 세미나(CNI세미나2021-11) 2021. 06. 04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소식지제13호 2017. 07. 31
충청남도 2019~2020년도 녹색성장 계획 이행평가 2020. 10. 01
충청남도 기후위기대응 인식도 조사 2021. 05. 01
2020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0. 01. 01
-
이상신
공공부문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지원사업 설명회(이상신,유종익) 2015. 06. 18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탄소중립시대 기후대기환경 연구 현황과 지자체간 공동 연구 방향 검토(CNI-40) 2022. 06. 30
기후변화 전문기관 연구협의체 세미나 및 협의체 운영회의(CNI세미나2018-014)(김태호,윤영배,박수진,이상신,조경두) 2018. 03. 15
대기측정분석을 통한 기여도 추정연구 세미나(CNI세미나2021-32) 2021. 10. 14
대기방지시설 전문가 초청 세미나(CNI세미나 2022-058) 2022. 09. 28
-
신우석
충청남도 블루카본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워크숍(CNI세미나2017-164)(신우석,류종성,정익교,안지환) 2017. 12. 07
충청남도 수산부산물의 재활용 및 사업화 모색(CNI세미나2018-031) 2018. 04. 16
부남호 하구내측 염수유입에 따른 육상생태계 영향 평가를 위한 전문가 간담회(CNI세미나2019-081) 2019. 09. 02
오염물질 배출시설 주변지역 과거 환경영향 기록복원 기초연구 2019. 06. 01
충남 온실가스 감축역량 강화를 위한 해양연안 부문 적용확대 방안 2020. 04. 21
충청남도 수산부산물 재활용 추진연구 2018. 0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