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충청남도 2020년도 온실가스 감축 이행평가 및 2021년도 감축계획
정책지원

충청남도 2020년도 온실가스 감축 이행평가 및 2021년도 감축계획

기간
2021. 03. 01 ~ 2021. 05. 25
연구책임자
이상신
키워드
온실가스,감축계획,충청남도,기후변화,탄소중립,이행평가,BAU,목표달성률
다운로드

[최종보고서] 충청남도 2020년도 온실가스 감축 이행평가_원문공개[보완](3).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충청남도의 2019년도 온실가스 감축 이행성과와 2020년도 감축계획을 바탕으로 향후 감축전략 수립과 이행평가 체계의 개편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주요 내용은 63개 감축사업 중 정량화 가능한 31개 사업을 분석한 결과 총 13591억원을 투입해 약 125만 톤tCO2eq의 온실가스를 감축했으며 이는 당초 목표인 108만 톤을 초과 달성한 수치로 전반적인 달성률은 1157에 달한다
부문별로는 가정보급형 고효율기기 설치 상업공공부문 건물 에너지 절감 임업의 탄소흡수 활동 등이 주요 기여 요인이며 특히 가정부문과 농축산부문에서 높은 초과 감축 실적을 기록한 반면 임업부문은 목표 대비 다소 미달하였다 폐기물 부문은 비록 한 건이지만 정량적 감축 성과를 도출하였다
제1차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1120년은 누적기준으로 BAU 대비 305 감축 실적을 기록해 목표30를 초과 달성하였다 그러나 2021년부터 적용되는 제2차 계획2130년은 연도별 감축실적으로 관리체계가 전환되며 감축목표도 BAU 대비 226로 다소 낮아졌으나 연도별 실적관리가 강화되는 구조로 변화된다
이러한 계획 변경에 따라 충남은 배출전망치BAU가 478백만 톤 줄어드는 동시에 목표배출량은 495백만 톤 줄어드는 등 국가 차원의 재산정 기준에 따라 감축 실적에 대한 관리 지표도 변경될 필요가 있다 특히 2021년부터 탄소중립이 포함된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 수립이 예정되어 있어 이와 연계한 이행평가 체계 재설계가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된다
결론적으로 충청남도는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초과 달성함으로써 기후변화 대응에서 선도적인 성과를 보였으며 앞으로는 국가계획 변화와 탄소중립 전환 흐름을 반영한 정책 체계 전환과 평가기준의 정비가 요구된다

목차

2020년도 온실가스 감축실적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 추진 결과
2021년도 이행평가 체계 변경 필요
1차 계획과 2차 계획 비교
감축률 변화와 목표 조정
비공개 보고서 안내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