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계룡시 2019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정책지원

계룡시 2019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기간
2020. 05. 18 ~ 2020. 07. 31
연구책임자
박상현
연구자
김홍수,최정호,조병욱
키워드
수질,계룡시,금강수계,오염원,개발사업,삭감시설,부하량,환경기초시설
다운로드

계룡시 2019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 계룡시의 2019년도 수질개선사업계획 추진실적은 금강수계 수질오염총량관리 제3단계 계획20162020년에 따라 설정된 BOD 및 TP 목표수질 달성을 위해 이행된 성과를 평가한 문서이다 대상 유역은 갑천A와 논산A이며 BOD 기준은 각각 52mgL 39mgL TP 기준은 0200mgL 0146mgL로 설정되었다
2019년 평균 수질은 BOD 기준으로 갑천A 33mgL 논산A 34mgL로 양호한 수준이었고 TP도 각각 0121mgL 0136mgL로 목표를 만족하였다 계룡하수종말처리장은 평균 16323일의 유량으로 방류되었으며 BOD 18mgL TP 0042mgL로 기준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오염원 분석에서는 생활계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축산계는 전체 가축 두수가 감소하였다 갑천A 유역은 돼지와 가금류 수가 2019년 기준 각각 0두 693두로 감소하였고 논산A 역시 축산규모가 감소하는 추세였다 산업계는 갑천A에서 하루 평균 5024의 폐수가 발생하여 전년도 대비 증가하였다 토지계는 개발사업에 따라 임야가 감소하고 대지 및 기타 면적이 증가하는 구조적 변화를 보였다
개발사업 부하량 관리 측면에서는 갑천A 유역에서 10건의 개발사업이 협의되어 BOD 점오염 1139kg일 비점오염 3252kg일이 할당되었고 논산A에서는 15건의 사업으로 BOD 비점 791kg일이 할당되었다 일부 사업은 비점오염 삭감계획을 포함하였으며 계룡대실지구 도시개발사업과 파라디아아파트 도로사업 등에서 장치형 저감시설이 설치되었다
삭감부하량 실적은 환경기초시설 신증설 하천정비 비점저감시설 등에서 실질적인 삭감실적은 보고되지 않았고 대부분의 수질개선은 기존 시설 운영의 안정성과 개발사업 내 삭감시설 설치를 통해 이뤄졌다 2019년 투자실적은 총 604억 원으로 주로 환경기초시설 및 관거정비에 집중되었다
결론적으로 계룡시는 수질목표를 대체로 달성하였으며 지역개발에 따른 부하량 증가를 적절히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실질적인 삭감사업의 미이행은 장기적인 수질 안정성 확보에 한계로 작용할 수 있어 향후 지속 가능한 삭감사업 추진이 필요한 상황이다

목차

Ⅰ 수질개선사업계획 추진경과
Ⅱ 수질개선사업계획 요약
Ⅲ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성과
1 단위유역 수질현황
2 환경기초시설 등 운영현황
3 오염원 현황 및 전망
가 생활계
나 축산계
다 산업계
라 양식계
마 매립계
바 토지계
사 오염원 조사결과
4 지역개발부하량 관리실적
가 소진현황
나 개발사업 할당현황
다 준공현황
라 준공 개발사업 세부내역
마 비점삭감계획 이행현황
5 삭감부하량 관리실적
가 이행 실적
나 신증설 실적
다 방류수 수질개선 실적
라 관거정비 실적
마 정화사업 실적
바 저감시설 실적
사 기타 실적
6 삭감시설 투자실적
가 투자현황
나 세부투자실적
Ⅳ 총평
Ⅴ 조치사항 및 향후 관리계획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