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충남 해양레저 산업 육성 방안
현안

충남 해양레저 산업 육성 방안

기간
2020. 01. 09 ~ 2020. 03. 31
연구책임자
한상욱
키워드
해양레저,충남,마리나,낚시,크루즈,관광인프라,해양정책,산업육성
다운로드

20200409-충남 해양레저 산업 육성방안-최종본(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은 해수욕장과 낚시에 치중된 전통적 해양레저 기능에 머물러 있으며 해양레저 기반시설 장비생산 관광서비스 등 산업적 측면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수도권 접근성과 해안선을 활용한 잠재력은 있으나 마리나 크루즈 수상레저 등 고부가가치 해양레저산업은 전무한 수준이다 특히 마리나 관련 제조업과 서비스업 기반이 부족하고 해양레저장비 및 선박 제조업체 수도 극히 적어 산업 생태계 자체가 취약하다
충남은 태안해안국립공원과 51개 해수욕장 등 풍부한 자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관광객 집중과 계절성 숙박 인프라 미비로 인해 장기 체류형 관광지로서 매력은 낮은 편이다 보령 태안 등은 힐링 및 생태관광으로 체류형 관광지를 조성하려는 노력을 진행 중이나 전반적으로 해양레저 콘텐츠의 다양성과 전문성은 부족한 상태이다
해양관광산업의 국제적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동북아시아 지역은 주요 관광시장으로 부상 중이다 해양관광은 단순 해수욕에서 스킨스쿠버 요트 서핑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고 크루즈 산업과 함께 마리나항만 수요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해양레저 기반시설 확충과 콘텐츠 다양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국가 정책 방향은 친환경 기술을 적용한 해양관광시설 조성 사계절 해양레저활동 촉진 마리나 산업의 고도화 레저선박 개발 크루즈 관광 저변 확대 해수욕장 복합레저공간 조성 등이며 이를 통해 지역특화형 해양레저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한다 연안 유휴지를 활용한 국민여가시설 조성과 해양생태관광 활성화도 주요 과제로 제시된다
충남은 전국 대비 해양레저 자원 밀집도가 낮고 자원 간 연계성도 떨어져 관광자원 개발의 규모화와 거점화가 미흡한 상태이다 특히 낚시 유람선 수상레저 선박 제조 분야 전반에서 다른 시도 대비 매우 빈약하며 관련 인프라와 전문 인력이 부족하여 산업 전반의 경쟁력이 낮다
향후 충남은 해양레저 콘텐츠 강화 관광자원 간 연계성 확보 기반 인프라 구축 마리나 및 해양레저산업단지 개발 등 단계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고부가가치 해양관광산업 육성을 위한 지역 주도형 마스터플랜 수립이 시급하다고 제시되고 있다

목차

배경 및 목적
해양레저산업 개념 및 범위
충남 해양레저산업 현주소
국내외 여건 전망
충남 대응방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