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오염원 분석 결과 생활계 오염원이 주요 배출원이며 산업계 및 축산계의 오염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갑천A 유역의 생활계 인구는 2016년 33715명에서 2020년 44222명으로 증가했고 이에 따라 물사용량과 폐수발생량도 증가하였다 논산A 유역 역시 생활계 인구와 오염물질 배출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인다
계룡시의 제3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에 따라 단위유역별 할당부하량이 설정되었으며 갑천A 유역의 BOD는 점 7878kg일 비점 46621kg일 TP는 점 6016kg일 비점 16585kg일로 할당되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삭감계획으로 계룡하수종말처리시설 광석도곡향한마을 하수처리시설 등 총 5개소가 삭감시설로 지정되었고 이를 통해 총 1473kg일의 BOD 0390kg일의 TP를 삭감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향후 4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 계획에 따라 계룡시의 하수처리시설은 증설 및 처리구역 확대를 추진하며 2025년까지 하루 27000 규모의 하수처리시설을 중심으로 계룡시 두마면 엄사면 금암동 등의 생활하수 증가에 대응하고자 한다 처리구역 확대에 따른 인구 증가는 2020년 68486명에서 2030년 68819명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하수량 증가도 반영되었다
4단계 기준으로 할당 가능한 개발부하량은 갑천A 유역에서 BOD 점 998kg일 비점 924kg일 TP 점 0859kg일 비점 0122kg일이며 이는 삭감계획을 기반으로 설정된 수치이다 이러한 삭감사업은 계룡시의 지속가능한 개발과 동시에 수질 목표 달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목차
계룡시 유역현황 분석
오염원 및 할당부하량 현황 및 전망 분석
목표수질 만족을 위한 삭감방안 제시
참고자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박상현
청양군 2017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2018. 05. 21
금산군 수질보전 및 지속가능한 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연구 2019. 08. 29
금산군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에 따른 효율적인 개발계획 추진방안 연구 2018. 07. 04
금산군 2021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2022. 10. 04
금산군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2017년 이행평가 2018. 05. 14
-
김홍수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청양군 2017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2018. 05. 21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개소 1주년 기념행사 2016. 03. 25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일본 동경- 2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을 위한 연구 용역 2010. 07. 19
열린충남63호 2013. 06. 01
열린충남66호 2014. 04. 04
-
최정호
제3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관계기관 워크숍(CNI세미나2017-038) (최정호) 2017. 02. 08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청양군 2017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2018. 05. 21
아산 배방 월천지구 개발사업 추진에 따른 수환경 영향평가 연구 2019. 04. 29
아산시 삽교호수계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변경 2020. 04. 01
아산시 삽교호수계의 수질보전 및 지속가능한 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연구 2021. 06. 18
-
조병욱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청양군 2017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2018. 05. 21
논산시 2018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2019. 06. 03
금강수계 천안시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2020년 이행평가 연구용역 2021. 02. 25
충청남도 도랑살리기 운동 모니터링 및 사후관리 평가(2021년) 2021. 01. 06
삽교호수계 천안시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2020년 이행평가 연구용역 2021. 02.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