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계룡시 수질보전 및 지속가능한 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연구
현안

계룡시 수질보전 및 지속가능한 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연구

기간
2020. 02. 06 ~ 2020. 04. 30
연구책임자
박상현
연구자
김홍수,최정호,조병욱
키워드
계룡시,수질보전,오염총량관리,개발부하량,삭감계획,하수처리시설,금강수계,목표수질
다운로드

현안과제 성과품(2020일반-9)_계룡시 수질보전 및 지속가능한 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연구_2020.04.30_최종.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보고서는 계룡시의 수질보전과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하여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 실태를 평가하고 향후 삭감방안 및 개발 가능량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계룡시는 금강수계 내 갑천A 및 논산A 단위유역에 해당하며 갑천A 유역은 443 논산A 유역은 165의 면적을 차지한다 이들 유역의 수질은 BOD TP 기준 대부분 목표 수질을 만족하였으나 논산A 유역은 일부 항목에서 초과한 사례도 확인되었다
오염원 분석 결과 생활계 오염원이 주요 배출원이며 산업계 및 축산계의 오염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갑천A 유역의 생활계 인구는 2016년 33715명에서 2020년 44222명으로 증가했고 이에 따라 물사용량과 폐수발생량도 증가하였다 논산A 유역 역시 생활계 인구와 오염물질 배출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인다
계룡시의 제3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에 따라 단위유역별 할당부하량이 설정되었으며 갑천A 유역의 BOD는 점 7878kg일 비점 46621kg일 TP는 점 6016kg일 비점 16585kg일로 할당되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삭감계획으로 계룡하수종말처리시설 광석도곡향한마을 하수처리시설 등 총 5개소가 삭감시설로 지정되었고 이를 통해 총 1473kg일의 BOD 0390kg일의 TP를 삭감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향후 4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 계획에 따라 계룡시의 하수처리시설은 증설 및 처리구역 확대를 추진하며 2025년까지 하루 27000 규모의 하수처리시설을 중심으로 계룡시 두마면 엄사면 금암동 등의 생활하수 증가에 대응하고자 한다 처리구역 확대에 따른 인구 증가는 2020년 68486명에서 2030년 68819명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하수량 증가도 반영되었다
4단계 기준으로 할당 가능한 개발부하량은 갑천A 유역에서 BOD 점 998kg일 비점 924kg일 TP 점 0859kg일 비점 0122kg일이며 이는 삭감계획을 기반으로 설정된 수치이다 이러한 삭감사업은 계룡시의 지속가능한 개발과 동시에 수질 목표 달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목차

연구배경 및 목적
계룡시 유역현황 분석
오염원 및 할당부하량 현황 및 전망 분석
목표수질 만족을 위한 삭감방안 제시
참고자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