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충남리포트플러스

충남리포트플러스

서산시 농업‧농촌혁신발전을 위한 농업인 인식조사 결과 분석
현안

서산시 농업‧농촌혁신발전을 위한 농업인 인식조사 결과 분석

기간
2020. 03. 09 ~ 2020. 06. 05
연구책임자
김기흥
연구자
이도경
키워드
서산시,농업인구 감소,농가 소득,농민수당,농촌 공동체,농업정책,청년농업인,친환경농업
다운로드

최종_[현안]서산시 농업‧농촌혁신발전을 위한 농업인 인식조사 결과 분석.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카피킬러 상세 결과확인서 - 최종_[현안]서산시 농업_농촌혁신발 - 9567023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보고서는 서산시 농업농촌의 여건과 농업인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산형 3농 혁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산시는 농가수와 농업인구 감소율이 전국 및 충남 평균보다 높고 경작자 평균 연령도 664세로 고령화가 심각한 상태이며 농가의 규모화는 진전되었으나 친환경농업 중 유기농 비율은 낮다 귀농귀촌 인구는 증가 추세이나 유입인구 정착을 위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설문조사 결과 농업인의 최대 관심사는 농산물 가격과 판로 유통 등 소득 관련 문제이며 위협 요소로는 생산비 증가와 일손 부족이 꼽혔다 생활 만족도는 지역 공동체와의 관계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소득 만족도는 낮아 소득 지원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농정 이슈로는 가격 안정 기후변화 대응 농민수당 직불제 개편 등이 주요 관심사로 나타났고 농정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안정적 소득 확보였다
서산형 농가 소득 지원 방안으로는 조건 없이 지급하는 서산형 농민수당 도입이 제시되었으며 이는 농민의 지역 기여에 대한 인정과 정서적 지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마을 단위 공동체를 중심으로 농지 및 인력 문제 등 농촌의 구조적 문제를 스스로 논의하고 해결할 수 있는 논의의 장을 마련해 자발적인 농촌 활성화를 유도할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농업농촌혁신발전위원회는 농민이 주체가 되는 서산형 3농 혁신의 중심 기구로 출범했으나 인지도는 24로 낮아 홍보 및 참여 확대가 필요하다 위원회는 소통과 의견 수렴 정책 평가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중소농 신규청년농업인을 중심으로 운영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시책 평가는 위원회 위원 공모 농업인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며 집행도 효과성 효율성 등이 중요 평가 기준으로 지적되었다
서산시는 2021년 시정 목표로 지속가능한 농업경영 기반 구축을 제시하였으나 실질적인 농촌 공동체 활성화 관련 정책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서산형 3농 혁신을 시 차원의 고유 정책으로 구체화하고 중앙정부 사업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향으로 지역 특화형 장기 농정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목차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서산시 농업 관련 현황
3 서산시 농업인 인식 설문조사 결과
4 결론 및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