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충남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 지원계획 수립을 위한 현황정책분석 및 전략 마련
현안

충남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 지원계획 수립을 위한 현황정책분석 및 전략 마련

기간
2020. 11. 06 ~ 2020. 12. 01
연구책임자
이민정
연구자
송민정,전춘복
키워드
충남 전통시장,상점가 육성,디지털 전환,빈점포 활용,청년몰,화재안전,상생스토어,배달서비스
다운로드

현안과제 2020 일반-10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 전통시장은 전국 전통시장의 4를 차지하며 평균 업력은 전국보다 높고 노점상 비율도 두 배 이상 높아 5일장 중심의 특성을 보인다 편의시설과 일반시설 홍보시설의 보유 비율은 전반적으로 양호하나 일부 편의시설과 노후도가 높은 시설의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 수유시설 유아놀이방 물품보관함 등은 노후도가 4점을 초과해 우선적인 정비가 필요하다
중소벤처기업부의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과 연계해 충남에서는 빈점포 상권활성 공유공간 안전 등을 핵심 키워드로 삼고 정책을 추진해야 하며 디지털 전환과 물리적 안전을 넘어 질병 안전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전통시장 내 VR투어 배달서비스 라이브커머스 모바일 쿠폰 등 디지털 플랫폼 구축이 요구된다
빈점포는 단순 점포 활용을 넘어 공유사무실 보건서비스 공간 택배처리 거점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되며 지역화폐와 연계한 아이스팩 빈병 수거 공간 설치도 검토된다 배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시니어 인력을 활용한 택배 분류 및 수거 체계도 고려되었다
타 지역 사례에서는 청주시 소나무길 서울 캠퍼스타운 춘천 육림고개 청년몰 이마트 노브랜드 상생스토어 양평 카부츠마켓 등이 소개되며 주민 참여와 민관 협력 공간혁신 및 콘텐츠 개발이 전통시장 활성화의 핵심임을 시사한다 특히 1913송정역시장은 지자체와 민간기업 협력의 모범사례로 꼽힌다
충남의 경우 지역대학과 협업을 통해 전통시장에 청년창업 인큐베이팅 기능을 도입하고 현장실습과 지역연계 교육의 장으로 전통시장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기반의 배달서비스와 온라인몰예 당찬한끼 운영은 전통시장의 다기능화와 자생력 강화를 돕는다
결론적으로 충남 전통시장 정책은 디지털화 안전강화 공유경제 활성화를 축으로 하여 지역 특성과 전국 정책 트렌드를 연계한 다각적 전략을 추진해야 하며 이를 통해 전통시장이 청년과 시민 모두에게 매력적인 지역거점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목차

제1장 충남 전통시장 및 상점가 현황
제2장 중앙부처사업 분석 및 연계방안
제3장 타시도 사례분석
제4장 요약 및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