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내용
중소벤처기업부의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과 연계해 충남에서는 빈점포 상권활성 공유공간 안전 등을 핵심 키워드로 삼고 정책을 추진해야 하며 디지털 전환과 물리적 안전을 넘어 질병 안전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전통시장 내 VR투어 배달서비스 라이브커머스 모바일 쿠폰 등 디지털 플랫폼 구축이 요구된다
빈점포는 단순 점포 활용을 넘어 공유사무실 보건서비스 공간 택배처리 거점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되며 지역화폐와 연계한 아이스팩 빈병 수거 공간 설치도 검토된다 배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시니어 인력을 활용한 택배 분류 및 수거 체계도 고려되었다
타 지역 사례에서는 청주시 소나무길 서울 캠퍼스타운 춘천 육림고개 청년몰 이마트 노브랜드 상생스토어 양평 카부츠마켓 등이 소개되며 주민 참여와 민관 협력 공간혁신 및 콘텐츠 개발이 전통시장 활성화의 핵심임을 시사한다 특히 1913송정역시장은 지자체와 민간기업 협력의 모범사례로 꼽힌다
충남의 경우 지역대학과 협업을 통해 전통시장에 청년창업 인큐베이팅 기능을 도입하고 현장실습과 지역연계 교육의 장으로 전통시장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기반의 배달서비스와 온라인몰예 당찬한끼 운영은 전통시장의 다기능화와 자생력 강화를 돕는다
결론적으로 충남 전통시장 정책은 디지털화 안전강화 공유경제 활성화를 축으로 하여 지역 특성과 전국 정책 트렌드를 연계한 다각적 전략을 추진해야 하며 이를 통해 전통시장이 청년과 시민 모두에게 매력적인 지역거점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목차
제2장 중앙부처사업 분석 및 연계방안
제3장 타시도 사례분석
제4장 요약 및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송민정
충남 지역금융 활성화방안 모색(이민정,송기균) 2015. 04. 30
충남 소상공인 분야 워크숍-협력과 공유의 자영업생태계로 전환(이민정) 2015. 05. 12
충남 지역에너지 분야 워크숍-친환경에너지 생산과 소비로의 전환(이민정) 2015. 05. 20
충남의 미래신산업 네트워크분석 및 '지역간 상생일자리 창출모델' 연구: 자동차산업 전후방산업연관을 중심으로 2022. 03. 01
아산시 통계지표 체계구축을 위한 연구 2018. 03. 01
디지털 전환 시대 당진시 미래산업 육성방안 연구 2022. 05. 16
-
이민정
충남도 환경위해시설 과세실현을 위한 워크숍(CNI세미나2017-016) (정종필,이민정) 2017. 03. 17
미세먼지 관련 지자체 역할확대방안 모색 워크숍(홍수열, 이민정) 2016. 08. 08
충남 지역금융 활성화방안 모색(이민정,송기균) 2015. 04. 30
충남 소상공인 분야 워크숍-협력과 공유의 자영업생태계로 전환(이민정) 2015. 05. 12
충남 지역에너지 분야 워크숍-친환경에너지 생산과 소비로의 전환(이민정) 2015. 05. 20
2024 당진시 자동차산업 국제세미나 2024. 03. 25
-
전춘복
(해외출장보고서)랴오닝성사회과학원 MOU 체결 및 학술세미나 개최 2019. 08. 20
충남 프랜차이즈산업 육성방향 및 과제 2024. 03. 01
코로나19의 사회ㆍ경제적 영향 분석 및 「긴급재난소득」의 효과 평가 연구 2020. 10. 05
2021 충남도정에 바란다 : 소상공인편 2021. 01. 06
충남의 국제산업협력 거점조성 연구 : (가칭) 충남 자동차부품 ICT/소부장 혁신플랫폼 벨트 조성 2021. 03. 01
충남의 인도네시아 해외사무소 설립 방향 2021. 03. 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