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아산시 마산저수지 수질개선 방안 연구
현안

아산시 마산저수지 수질개선 방안 연구

기간
2020. 11. 05 ~ 2020. 11. 30
연구책임자
김홍수
연구자
최정호,조병욱,박상현
키워드
아산시,마산저수지,수질오염,비점오염원,하수처리,인공습지,수생태계,개선방안
다운로드

현안과제 성과품(2020일반-99)_아산시 마산저수지 수질개선 방안 연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보고서는 충남 아산시 마산저수지의 수질오염 실태를 분석하고 주요 오염원 및 수생태계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마산저수지는 농업용 저수지로 수질이 기준을 초과하고 있으며 여름철 악취와 주민 민원이 빈번한 실정이다 유입하천과 저수지 방류수는 모두 수질등급 E매우 나쁨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생활하수 가축분뇨 비점오염 등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한다
저수지 유역은 방축동 초사동 신창면 등에서 인구 밀집과 산업시설 축산 활동이 집중되어 있어 오염물질 배출이 높은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생활계 오염원이 전체 배출량의 약 36 축산계가 약 30 토지계 비점오염원이 약 34를 차지하며 산업계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이다 수질오염의 원인을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 오염원별 행정구역별로 정밀 조사도 병행되었다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방축동 신인동 초사동 등 미처리 생활하수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하수처리 구역을 확대하고 하수관거를 정비한다 둘째 초사천 유입부에 총 25000 규모의 인공습지를 조성하여 농경지에서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을 저감한다 셋째 아산 하수처리장 방류수 1만 톤을 황산천 상류로 재이용하여 저수지 유입수의 수질을 간접 개선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이러한 조치는 수질 및 수생태계 회복과 더불어 주민 생활환경 개선 악취 민원 해소 안정적인 농업용수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인공습지는 환경교육장으로 활용 가능하며 생태경관 조성에도 효과가 있다 하수처리 재이용은 상수도 수요를 줄이고 도시하천의 유지용수로 활용 가능해 경제적환경적 파급효과가 크다
사후관리 계획은 정기적 수질 모니터링과 시설 유지관리로 구성되며 공간기능적 측면 모두에서 저수지의 수리적 안정성과 생태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보전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통해 예상치 못한 침식 생태교란 등의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환경개선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총사업비는 398억 원으로 하수처리 158억 인공습지 140억 하수재이용 100억 원이 투입되며 국비 2786억 지방비 1194억으로 분담된다 향후 5개년간 단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며 이를 통해 마산저수지는 체계적인 수질관리 모범 사례로 정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1 연구목적 및 방법
2 유역 및 물 환경 현황
3 오염원인 및 문제점 분석
4 개선방안 및 기대효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