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충남리포트플러스

충남리포트플러스

제4단계 부여군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
수탁

제4단계 부여군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

기간
2020. 06. 16 ~ 2021. 12. 06
연구책임자
김홍수
연구자
박상현,최정호,조병욱,이병구,이무규
키워드
수질오염총량관리,부여군,금강수계,BOD,T-P,할당부하량,단위유역,오염원 전망
다운로드

제4단계 부여군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부여군은 금강수계법 제11조에 따라 제4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을 수립했고 금본J 금본K 금본L 단위유역을 대상으로 2021년부터 2030년까지 시행한다 법적 근거는 금강수계법 오염총량관리 기본방침 기술지침이며 BOD와 TP가 관리 대상 물질로 지정되었다
각 단위유역의 목표수질은 환경부와 충청남도지사가 설정하였으며 과거 5개년 평가 결과 금본J 금본K 금본L 모두 BOD와 TP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가 있었다 이에 따라 목표 수질 달성을 위한 부하량 할당 및 감축 계획이 수립되었다 단위유역별로 평가수질과 목표수질 간의 격차가 확인되었다
오염원은 생활 축산 산업 토지 양식 등으로 분류되며 2019년 기준으로 오염원별 배출량이 조사되었다 금본K는 특히 축산계와 산업계 오염원 비중이 높았고 금본L은 가금류 사육 규모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오염원 전망은 지수회귀식을 이용해 2030년까지 예측되었다
오염부하량은 기술지침에 따라 오염원 규모와 배출경로를 분석해 산정되었으며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이 연도별로 정리되었다 금본K의 경우 BOD 총 발생부하량은 2019년 기준 약 57000kg일이었고 산업계 오염의 비중도 컸다 삭감 목표는 계획 수립 기준년도 대비 설정되었다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 따른 감축 계획이 마련되었으며 점오염원은 하수처리장 등 환경기초시설을 중심으로 비점오염원은 토지와 축산계 중심으로 설정되었다 할당부하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여유량 확보와 삭감량 조정이 병행되었다 최종 배출부하량은 기준 이하로 조정되었다
종합적으로 이번 제4단계 시행계획은 유역별 오염 특성을 반영해 실현 가능하고 기술적경제적 여건을 고려한 삭감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장래 개발사업과 수질개선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추후 이행 여부와 실제 삭감 성과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목차

Ⅰ 시행계획 개요
1 시행계획 수립주체
2 법적근거 및 시행절차
3 계획수립 목적 및 범위
4 추진경과
5 총량관리 목표
Ⅱ 시행계획 요약
1 시행계획 대상유역 및 수질현황
2 오염원 현황 및 전망
3 오염부하량 현황 및 전망
4 지역개발계획
5 삭감계획
6 총량관리 할당부하량 및 연차별 할당부하량
7 할당대상시설 지정현황
8 삭감이행계획
9 시행계획 이행관리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