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금강수계 금산군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2019년 이행평가 연구용역
수탁

금강수계 금산군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2019년 이행평가 연구용역

기간
2020. 03. 31 ~ 2020. 12. 10
연구책임자
박상현
연구자
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병구,이무규
키워드
총량관리,금강수계,금산군,수질오염,이행평가,T-P,단위유역,오염원
다운로드

금강수계 금산군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2019년 이행평가 연구용역.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금산군은 2019년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이행평가를 통해 금강수계 6개 단위유역금본D 금본E 금본F 갑천A 논산A 유등A에 대한 수질 및 배출부하 현황을 분석했다 이행평가 기간은 2019년 1월부터 12월까지이며 총인TP을 기준으로 각 유역의 목표수질 달성 여부를 평가했다
수질 분석 결과 금본D 금본E 금본F 논산A는 목표수질을 초과하였고 갑천A만이 수질 기준을 만족하였다 특히 금본D는 평균 총인 농도가 0038mgL로 목표수질 0020mgL를 초과해 관리 필요성이 가장 높았다 금본E와 F 또한 평가수질 기준을 지속적으로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출부하량은 금본D에서 가장 높았으며 축산계 오염원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금본F는 산업계 오염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고 갑천A와 논산A는 상대적으로 낮은 배출량을 보였다 일부 지역은 인구 감소 물사용량 변화 축산 사육두수 증감이 배출량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유량구간별 수질 평가에서는 홍수기와 갈수기 모두에서 총인 농도 초과 사례가 다수 발생했으며 특히 금본D는 거의 모든 유량구간에서 평균 초과율이 높게 나타났다 비점오염원에 의한 배출 비중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관리 대책이 요구된다
이행 평가 자료에는 수질오염 발생량과 배출량 외에도 축산두수 폐수배출업소 수 산업폐수량 등 오염원 현황도 포함되었고 향후 개발계획에 따른 예측도 함께 제시되었다 일부 단위유역은 점오염원 삭감이 있었으나 비점오염은 오히려 증가했다
전반적으로 금산군은 수질 기준 초과 유역에 대한 정밀 분석과 함께 축산산업토지계 오염원에 대한 강화된 관리가 필요하며 비점오염원 저감 대책과 정밀 모니터링 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

목차

Ⅰ 이행평가 개요
1 이행평가 주체
2 목적 및 범위
3 총량관리대상 오염물질
4 추진경과
Ⅱ 평가보고서 요약
1 유역구분
2 이행평가 대상기간의 수질
3 오염원 현황
4 오염삭감부하량 산정결과
5 오염삭감부하량 증감원인
6 이행평가 결과
7 할당부하량 초과원인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