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금강수계 금산군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2020년 이행평가 연구용역
수탁

금강수계 금산군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2020년 이행평가 연구용역

기간
2021. 02. 24 ~ 2021. 12. 10
연구책임자
박상현
연구자
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병구,이무규
키워드
총량관리,금산군,금강수계,수질이행평가,단위유역,총인,오염원,배출부하
다운로드

금강수계 금산군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2020년 이행평가 연구용역.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금산군은 금강수계 내 금본D 금본E 금본F 갑천A 논산A 등 5개 단위유역을 대상으로 2020년 수질오염총량관리 이행실적을 평가하였으며 총인은 대상물질로 설정됨 평가 결과 금본DEF는 목표수질을 초과했고 갑천A는 만족 논산A는 일부 초과로 나타났음
금본D는 평균 총인 농도 0038mgL로 목표수질 0020mgL을 초과했으며 연도별 평가수질도 지속 초과 상태였음 금본F 역시 목표수질 대비 평균 42 이상 초과했고 유량구간별 분석에서도 전반적인 초과율이 높았음 갑천A는 모든 연도에서 안정적인 수질을 유지함
오염원별 분석에서는 금본D 유역의 축산계 오염원이 급증했으며 특히 돼지와 가금류 사육두수 증가가 주 원인이었음 산업폐수도 증가 추세를 보였고 전체 배출부하량 중 비점오염원의 비중이 가장 큼 금본E는 오염원 자체가 미미해 총량 증가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음
배출부하량 분석 결과 대부분 유역에서 생활계축산계산업계 부하가 전년 대비 증가했으며 금본F와 논산A는 산업계 오염원도 일정 비중 차지함 특히 금본D 유역은 점오염원보다 비점오염원 기여도가 월등히 높아 저감 대책이 시급함
각 유역의 할당부하량 대비 배출량 평가에서는 일부 유역의 생활계 및 산업계 오염원이 기준치를 초과했으며 삭감사업 이행률이 낮아 실질적 저감 효과는 제한적이었음 일부 비점오염원 삭감시설은 설치조차 되지 않아 정책 이행력에 한계가 있음
종합적으로 금산군은 갑천A를 제외한 대부분 유역에서 목표수질 초과 현상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축산계와 토지계 비점오염원의 관리 부족에 기인함 향후에는 고농도 유역 중심의 정밀 삭감계획 수립 오염원별 분류 관리 강화 수질 개선 모니터링 체계 확대가 필요함

목차

Ⅰ 이행평가 개요
1 이행평가 주체
2 목적 및 범위
3 추진경과
4 오염총량관리대상 오염물질
5 평가보고서 요약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