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충청남도 민주시민교육 종합계획 수립 연구
수탁

충청남도 민주시민교육 종합계획 수립 연구

기간
2020. 05. 19 ~ 2020. 09. 18
연구책임자
전지훈
연구자
송두범,이홍택,장창석,홍은일,임다정
키워드
민주시민교육,충청남도,시민성,공공선,자유주의,공동체주의,정책과제,참여역량
다운로드

충남 민주시민교육 종합계획 수립 원고_최종검수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 민주시민교육 종합계획20212025은 도민의 민주주의 역량 강화를 통해 지역 공동체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자 마련되었다 민주시민교육의 법적 근거는 2019년 제정된 충청남도 민주시민교육 조례로 조례에 따라 5개년 종합계획 수립이 추진되었다
계획은 민주시민의 개념 정립 및 시민성 함양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 국내외 민주시민교육 사례 분석을 통해 충남형 교육체계 수립에 반영했다 특히 독일 영국 스웨덴 등 사례를 참고하여 충남의 특성에 맞는 교육 방향성과 실천전략을 수립했다
수요조사 결과 도민 다수는 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였으며 실천적 참여와 비판적 사고 능력 공동체적 가치 교육 등이 중요 과제로 도출되었다 다양한 세대와 계층을 포괄하는 맞춤형 교육 콘텐츠 개발이 요구되었고 이는 계획에 포함되었다
정책 방향은 참여주체 육성 인식 및 문화 확산 협력체계 구축 교육기반 조성 등 4개 분야로 구분되며 각각의 분야에 따라 17개 세부 실천과제를 설정하였다 특히 충남 민주시민교육센터 설립을 통해 거버넌스를 체계화하고 단계별 실행 로드맵을 제시했다
계획 실행을 위한 조직은 충남평생교육진흥원을 중심으로 도시군 단위의 협의체 구성 민관협력 거버넌스 구축을 강조하였다 또한 교육 콘텐츠 개발 평가체계 마련 시민사회와의 연계를 통해 실행력을 높이고 장기적으로 민주시민 역량 강화와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 계획은 민주시민교육을 특정 정치 이념이 아닌 시민 역량 강화와 지역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적 교육으로 정립하고자 하며 지역적 특성과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는 민주주의 학습체계 확립을 핵심으로 삼고 있다

목차

I 과업 개요
1 계획의 배경과 목적
2 수립 방향 및 내용
II 이론 및 사례의 검토
1 민주시민교육의 이론과 개념
2 국내 민주시민교육의 사례
3 국외 민주시민교육의 개념과 운영사례
III 제도 및 정책운영 실태
1 민주시민교육의 정책환경과 제도화
2 충남 민주시민교육의 관련분야
IV 인식 및 수요조사
1 조사 설계 및 개요
2 민주시민교육의 인식조사
3 민주시민교육 정책 수요조사
4 조사결과 분석
V 충남 민주시민교육의 방향과 과제
1 충남 민주시민교육의 진단과 방향
2 민주시민교육의 정책과제와 실천사업
3 정책 추진체계와 실행계획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