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2020 충남 사회적경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수탁

2020 충남 사회적경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기간
2020. 08. 05 ~ 2020. 12. 31
연구책임자
이홍택
연구자
고승희,전지훈,장창석,홍은일,임다정
키워드
충남,사회적경제,경영환경,정책,코로나,사회적가치,기업,실태조사
다운로드

2020 충남 사회적경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 지역의 사회적경제는 2010년 이후 빠르게 성장했지만 질적 성장은 정체돼 있고 기업 대부분이 영세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경영 기반이 약한 사회적경제기업들은 고용 규모가 작고 취약계층 고용 비율은 높지만 자립 역량은 부족한 상태다
코로나19는 경영 위기를 심화시켰고 교육 로컬푸드 사회서비스 분야 등에서 타격이 컸다 이에 따라 피해 실태와 회복 전략에 대한 분석과 업종별 대응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
대다수 기업은 창업 5년 이하로 창업의 죽음의 계곡에 위치해 있으며 평균 매출과 고용 수준이 낮아 지속가능성이 위협받고 있다 사회적 성과 평가 경험과 네트워크 활동도 부족하여 사회적가치 창출에 제약이 많다
충청남도는 사회적경제 기반 확충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북부권 중심의 성장 편중 협동조합의 낮은 경제성과 청년 참여 부족 등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다 특히 중남부 지역과 농어촌 중심의 특화전략이 필요하다
정책 만족도 조사 결과 기업들은 현장의 수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정책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보였고 긴급 자금지원 판로 확대 인력 양성에 대한 수요가 컸다 이를 반영해 현장 맞춤형 정책 개선이 요구된다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사회적경제조직 발굴 네트워크 강화 전문인력 육성 공간 및 인프라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사회적경제 혁신거점 운영 전략이 중요하다

목차

Ⅰ 연구 개요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3 연구 범위 및 방법
Ⅱ 충남 사회적경제 여건 검토
1 충남 사회적경제 현황
2 사회적경제 정책 동향
3 충남 사회적경제의 현 상황
Ⅲ 충남 사회적경제기업의 운영실태
1 조사개요
2 경영활동
3 사회적가치 지향 활동
4 코로나 피해 실태
Ⅳ 사회적경제기업의 정책 만족도 및 수요
1 사회적경제기업의 정책 만족도
2 경영활동 애로사항
3 지원정책 수요
Ⅴ 당면과제 및 개선방안
1 충남 사회적경제의 당면과제
2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부록] 2020 사회적경제 실태조사 설문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