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사회적경제 연계를 통한 농공단지 활성화 방안
전략

사회적경제 연계를 통한 농공단지 활성화 방안

기간
2017. 06. 01 ~ 2017. 11. 30
연구책임자
박춘섭
연구자
이홍택,전지훈,홍은일
키워드
농공단지,사회적경제,충청남도,지역경제 활성화,입주수요,협업단지,로컬푸드,집적효과
다운로드

29-사회적경제 연계를 통한 농공단지 활성화 방안(박춘섭).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의 농공단지는 1986년부터 조성되어 현재 91개소가 운영 중이며 농촌지역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해 왔다 그러나 최근 노후화 가동률 감소 휴폐업 미분양 등 구조적 한계가 심화되면서 기존 중심의 정책으로는 한계가 명확히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사회적경제와 연계한 새로운 농공단지 모델이 제안되었다 사회적경제는 호혜 연대 사회적 가치 추구를 핵심 원리로 하며 기존 농공단지의 입지 경쟁력 약화와 지역사회와의 괴리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된다
충남에는 현재 626개의 사회적경제기업이 활동 중이며 제조업과 농림어업 중심의 업종이 다수다 입주 수요조사 결과 96개 기업 중 41개 기업이 입주의향을 보였으며 복합단지 조성과 유사 가치 기업 간 협력 등을 기대하고 있었다
정책 방안은 신규 단지 조성과 기존 단지 활용의 투트랙 전략으로 구성되며 신규 조성은 생협 유치형 및 로컬푸드 특화형으로 기존 단지는 휴폐업시설을 활용한 협업단지 또는 문화편의시설 중심의 컨테이너단지로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사회적경제형 농공단지는 단순 제조 공간을 넘어 카페 교육 숙박 등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공간으로 설계되며 공동생산유통판매를 통해 집적효과를 극대화하고 지역사회와 밀접히 연계되어 운영될 수 있도록 기획된다
충남의 농공단지 정책은 이제 물리적 환경 개선을 넘어서 사회적경제를 기반으로 한 구조 전환이 필요하며 이는 지역 자원 활용 공동체 기반 산업 활성화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 등의 측면에서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

목차

Ⅰ 연구개요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범위 및 방법
Ⅱ 농공단지와 사회적경제의 이론적 검토
1 농공단지 정책추이와 지원정책
2 사회적경제의 특성과 정책동향
3 농공단지와 사회적경제의 연관성 검토
Ⅲ 농공단지 및 사회적경제의 현황과 과제
1 충청남도 농공단지 현황과 정책
2 충청남도 사회적경제 현황과 정책
3 사회적경제 기반의 집적단지 주요 사례
Ⅳ 농공단지 활용가능성 및 입주수요 검토
1 활용가능 농공단지 검토
2 입주수요 분석
Ⅴ 사회적경제형 농공단지 도입방안
1 기본 방향
2 세부 추진 전략
Ⅵ 결론 및 정책제언
1 요약 및 정책제언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부록 1] 도내 농공단지 활용가능성 조사
[부록 2] 충청남도 소재 사회적경제기업 설문조사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