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금산군 2020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정책지원

금산군 2020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기간
2021. 09. 13 ~ 2021. 11. 30
연구책임자
박상현
연구자
김홍수,최정호,조병욱
키워드
수질,금산군,금본D,유등A,오염원,하수처리,폐수,개발사업
다운로드

금산군 2020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추진된 금강수계 수질개선사업의 실적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금산군은 금본D 금본E 금본F 유등A 갑천A 논산A 유역을 대상으로 하여 BOD 및 TP를 핵심 지표로 수질목표를 설정하였고 2020년 기준 대부분의 유역에서 목표수질을 달성하였다 예를 들어 금본D는 BOD 목표 10mgL 대비 평균 수질 09mgL를 기록하였다 다만 TP 항목에서는 일부 유역에서 목표치 초과가 발생하였다
환경기초시설 운영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성과를 보였다 금산하수종말처리장과 농공단지 및 마을하수처리시설 등 다수의 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대부분 BOD 및 TP 수질 기준을 만족시켰다 특히 금산산업단지 및 추부농공단지 등의 폐수처리장은 기준을 충족하였고 일부 소규모 마을하수도는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상태였다 예를 들어 복수농공단지폐수종말처리장은 TP 수치가 4322mgL로 기준치를 초과하였다
오염원 분석에서는 생활계 인구가 일부 유역에서 감소세를 보였으며 축산계 오염원은 지역별로 증감 차이가 컸다 금본D 유역에서는 가축 사육두수가 감소하면서 전체 오염부하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등A 유역에서는 가금류와 돼지 사육두수가 증가해 오염원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산업계 폐수 발생량은 금본D와 금본F에서 증가세를 보였으며 유등A에서도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지역개발부하량 관리는 총 120건 이상의 개발사업을 통해 점비점 오염원 부하량이 발생하였으나 대부분은 허용 범위 내에서 관리되었다 금본D 유역에서는 93건의 개발사업에서 총 449kg일BOD 점 3556kg일BOD 비점이 발생하였으며 잔여 부하량은 여전히 충분한 상태였다 다만 TP 부하량은 일부 유역에서 소진량이 누적되고 있어 향후 부하량 관리 강화가 요구된다
무허가 축사 적법화로 인한 가축 사육두수의 변화도 분석되었다 금본D의 경우 기존 대비 젖소와 돼지 사육두수가 증가했으며 특히 돼지는 5472두에서 18590두로 급증했다 이에 따른 오염부하 증가는 향후 삭감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전반적으로 금산군은 대부분 유역에서 수질목표를 달성하며 안정적인 수질 개선 성과를 나타냈지만 일부 폐수처리시설의 부적정 운영 축산계 오염원의 증가 일부 유역의 TP 초과 등은 향후 관리계획에서 보완이 필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지속적인 환경기초시설의 유지관리와 비점오염원 저감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목차

Ⅰ 수질개선사업계획 추진경과
Ⅱ 수질개선사업계획 요약
Ⅲ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성과
1 단위유역 수질현황
2 환경기초시설 등 운영현황
3 오염원 현황 및 전망
가 생활계
나 축산계
다 산업계
라 양식계
마 매립계
바 토지계
사 당해연도 및 당해연도 전년도 오염원 조사결과
아 무허가축사 적법화에 따른 가축사육두수
4 지역개발부하량 관리실적
가 당해년도 지역개발부하량 소진현황
나 개발사업 할당현황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