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안성천수계 수질오염도 조사 및 평가
정책지원

안성천수계 수질오염도 조사 및 평가

기간
2021. 11. 08 ~ 2021. 11. 26
연구책임자
김홍수
연구자
박상현,최정호,조병욱
키워드
안성천,수질오염,모니터링,지류하천,조사지점,BOD,T-P,충청남도
다운로드

정책지원_2021년_안성천수계 수질오염도 조사 및 평가_2021.11.26.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충청남도 안성천수계의 수질오염도를 조사평가하여 향후 수질개선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 것이다 안성천수계는 천안시와 아산시 일부 지역을 포함하며 충남과 경기도의 경계에 위치한 주요 유역으로 그동안 수질관리 정책이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연구는 안성천수계의 지류하천 6개입장천 성환천 둔포천 신언천 아산천 공세천를 대상으로 총 15개 지점에서 1년에 걸쳐 4회분기별 1회 시료를 채취하고 9개 수질 항목을 분석하였다 수질오염도 평가는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와 TP총인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하천 등급별로 수질등급을 도출하고 이를 시각화한 수질오염지도를 제작하였다
조사 결과 BOD 평균은 대부분 26mgL 사이였으며 성환천1 입장천1 둔포천12 신언천1 등 일부 지점에서는 BOD 수치가 높게 나타나 4등급 이상의 수질로 분류되었다 특히 신언천1은 평균 BOD 47mgL TP 1129mgL로 매우 오염된 것으로 나타나 3등급 및 6등급의 낮은 수질 평가를 받았다 TP 항목에서도 신언천과 둔포천 일부 지점이 고농도로 나타나며 비료 및 가축분뇨 등에 의한 영향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하천별로 살펴보면 입장천과 성환천은 상류보다 하류에서 수질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고 둔포천은 전반적으로 평균 BOD 수치는 낮지만 TP 수치가 일부 구간에서 높은 특징을 나타냈다 신언천은 전체적으로 수질이 가장 나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하천으로 지적되었다
수질오염지도 작성은 각 하천의 등급을 시각화하여 지역별 오염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이는 향후 지역 맞춤형 수질개선 대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보고서는 모니터링 강화 하천 유역 내 오염원 정밀조사 지역 맞춤형 정화시설 설치 등의 정책적 대응방안 수립을 권고하고 있다

목차

1 배경 및 목적
2 안성천수계 현황
가 안성천유역 일반현황
나 안성천 유입하천 현황조사
3 안성천수계 지류하천 모니터링
4 수질오염지도 작성
5 조사 결과 요약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