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디자인충남
출판

디자인충남

기간
2021. 07. 01 ~ 2021. 12. 31
연구자
오병찬,박혜은,강경연,김성희,윤찬기
키워드
스마트건축,공공디자인,범죄예방,유니버설디자인,디지털기술,주민참여,지속가능성,정책연구
다운로드

디자인 충남 소식지 13호(내지)전체(3).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스마트라는 개념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생존을 위한 전략처럼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스마트 건축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스마트 건축은 단순히 기술 나열이 아니라 기술 사회 환경적 요소가 통합된 패러다임 전환을 필요로 한다 기술만 앞세운 접근은 부분 최적화에 그칠 수 있으며 진정한 스마트 건축은 장기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통해 실현되어야 한다
디지털 기술은 설계자의 도구를 넘어 설계 과정 전체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다양한 변수 입력을 통해 고성능 지속 가능 인간 중심의 건축 대안을 제시한다 디지털 도구는 비선형 디자인만을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 성능 사용자 행동 등 눈에 보이지 않는 요소들을 반영해 스마트한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건축가는 기술 중심에서 문화적 영향까지 고려하여 설계해야 하며 센서 드론 자율주행 기술 등을 활용한 반응형 환경이 중요해지고 있다
네덜란드의 브레인포트 스마트 디스트릭트 내 100 Homes 프로젝트는 이러한 방향을 실현한 예로 데이터 기반의 도시 시스템을 통해 주거 에너지 이동성 건강 서비스를 통합하고 있다 이 실험은 스마트 기술이 주민의 삶에 실질적 혜택을 주는지를 검증하며 건축가의 역할은 기술적 지식을 바탕으로 주민과 협력해 플랫폼을 공동 설계하는 데 있다고 제시한다
스마트 시대의 건축가는 단순 제작자에서 벗어나 협력자 촉진자 조정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복잡한 시스템과 다양한 이해관계자 속에서 공동의 가치를 찾아내고 의미 있는 공간을 조성하는 중재자로서의 기능이 강조된다 이는 공공과 민간 학계와 시민사회 모두의 참여가 필요하며 건축가의 역할이 재정의되는 시기임을 시사한다
결국 스마트 건축은 단순한 기술의 집합이 아니라 사람 환경 기술이 통합되는 총체적 시스템이며 이를 위해서는 문화적 감수성과 기술적 이해 그리고 다양한 분야 간 협력이 핵심이 된다 이를 통해 건축은 변화하는 도시와 사회 속에서 여전히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목차

Issue
스마트 건축에 대한 소고
Level up
충청남도 공공디자인 공모사업 디자인 관리 자문단 제도
Review
일상생활 속 범죄예방을 위한 공공디자인 문 담장 CCTV를 새롭게 바라보기
유니버설디자인의 역사를 통해 살펴본 선진 사례
Team 홍성군
고미당 마을 2020 충청남도 경관협정 시범사업
Focus on 센터소식
2021년도 충청남도 공공디자인 문화제 수상 작품
2021년도 정책연구 성과
20142021 연구성과
센터소식
국내 정책동향
중앙부처
광역지방자치단체
충청남도 및 15개 시군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