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2021년 KTX 공주역 이용객 모니터링 조사연구
현안

2021년 KTX 공주역 이용객 모니터링 조사연구

기간
2021. 06. 07 ~ 2021. 09. 30
연구책임자
김양중
연구자
김영수
키워드
공주역,KTX,접근성,관광상품,대중교통,공산성,홍보전략,편의시설
다운로드

2021 공주역 모니터링.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보고서는 KTX 공주역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 2021년 모니터링 조사 결과를 통해 공주역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공주역은 공주 논산 계룡 등 인근 5개 시군의 철도 접근성 확보를 위해 설립되었지만 여전히 이용객 수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용객 대부분은 충남 지역민이며 외부 이용객 비율은 낮았다
교통 접근성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었으며 승하차자의 60 이상이 자가용을 이용하고 있었다 20대는 시내버스를 주로 이용하나 전체적으로 대중교통 이용률이 낮아 공주역 활성화를 위해서는 시내버스 노선 확대와 배차 간격 조정 등 교통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세종시와의 연결성이 취약하여 BRT 도입 등 중장기 교통망 개선이 요구된다
공주역 방문 목적은 개인용무가 가장 많았고 관광 목적은 낮았다 공주역의 인지 계기는 지역에 있는 역이어서가 가장 높았으며 SNS 및 유튜브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어 연령별 맞춤형 홍보 전략 수립이 중요하다 관광상품을 통한 이용은 10 수준으로 낮아 여행사와의 협력이 필요하다
관광객 방문지는 공산성 무령왕릉 한옥마을이 많았고 관광 목적 역시 문화유산이나 지역 축제 중심이었다 그러나 지역체험 프로그램이나 시티투어로 연계되는 비율은 낮았으며 이를 유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숙박은 펜션 위주였으며 음식점 및 특산품 판매점 부재는 주요 불만 요소로 나타났다
공주역 홍보 시 필요한 이미지는 청정한 역 문화관광 관문이었으며 주요 홍보 수단으로는 관광상품 연계와 SNS 인터넷 광고가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20대의 경우 SNS 활용도가 높아 디지털 기반 홍보가 요구된다 공산성 백제문화제 등 지역 자원을 활용한 마케팅 전략도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공주역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통 접근성 개선 연령 맞춤형 온라인 홍보 여행상품 개발 편의시설 확충이 핵심이며 장기적으로는 세종시 관문역으로서의 기능 강화와 지역자원과 연계된 관광 허브로서의 이미지 정립이 필요하다

목차

제1장 연구배경 및 목적
제2장 승하차자 이동경로
제3장 공주역 이용현황
제4장 관광객 부가조사
제5장 공주역 홍보 및 활성화 방안
제6장 요약 및 시사점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