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청남도 공공사업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지원방안(CNI세미나 2021-23)
연구정책조성/세미나

충청남도 공공사업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지원방안(CNI세미나 2021-23)

기간
2021. 08. 26 ~ 2021. 08. 26
연구자
오병찬,박혜은,강경연
키워드
공공디자인,경관계획,디자인컨설팅,공공건축,충청남도,디자인가이드라인,범죄예방디자인,유니버설디자인
다운로드

210826_자문위원 워크숍_0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공공디자인센터는 공공디자인 및 경관에 관한 자문과 지원을 목적으로 충청남도 조례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공공디자인 비전 연구 가이드라인 개발 컨설팅 교육 홍보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2009년 디자인클리닉센터로 시작하여 2014년 공공디자인센터로 개편되었고 2020년에는 국토교통부로부터 지역공공건축지원센터로 인가받았다
주요 업무는 경관 및 디자인 정책 제안 교육출판홍보 등 행정역량 강화 공공사업 디자인 컨설팅 공공건축 사전검토 및 자문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이다 디자인 컨설팅은 도 및 시군 공공기관 대상이며 사업 단계별 프로세스와 전략을 제시하며 중앙부처 공모사업 발굴도 포함한다
공공디자인센터는 건축심의 공공건축 기획심의 경관디자인 통합심의 등 다양한 법령과 조례에 따른 디자인 관리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설계공모나 사전검토 등 공공사업 전반에서 디자인 자문 역할을 수행한다 총사업비 2억 원 이상이거나 범죄예방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사업이 주요 심의 대상이다
센터는 디자인관리자문단과 함께 공모사업의 단계별 추진 절차를 관리하며 자문단 구성 사업 타당성 검토 설계 및 공사 단계의 심의 전후 검토 사후 모니터링과 평가까지 전 과정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사업의 구체성 실현 가능성 유지관리 방안 등을 점검한다
2020년 공모사업 사례로는 아산의 생태문화놀이터 홍성의 경관개선 서산의 놀이마을 조성 등이 있으며 경관협정과 지역현안 사업도 포함되었다 이러한 사례는 센터의 컨설팅과 디자인 관리가 실제 사업에 적용된 예시로 제시되었다
센터는 홈페이지를 통해 자료 공유 및 신청을 지원하고 있으며 공공디자인 관련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디자인 컨설팅 운영체계 방식 시점 프로세스 등은 다양한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소개되었다

목차

1 공공디자인센터 소개
2 공공디자인센터 주요업무
정책연구 및 디자인 행정역량 강화
디자인 컨설팅 운영체계 및 방식
디자인 컨설팅 시점과 프로세스
센터 홈페이지
3 2022년 국도비 공모사업 관리
공모사업 디자인 관리
단계별 세부 추진 절차
추진계획
공모사업 사례
4 공공사업 디자인 컨설팅 사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