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충청남도는 최근 5년간 화재 발생 건수가 줄어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구 1만 명당 화재 발생 건수는 전국 평균보다 높으며 특히 사망자 비율이 전국 평균의 두 배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인구 수와 비례하지 않으며 군 단위 지역에서 더욱 취약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주거지역 농어촌 단독주택 고령자 계층에서 높은 비율로 집중되고 있다
화재안전 취약요인 개선을 위해 충청남도는 하위 10 지역에 대한 집중관리 소방력의 지역 간 불균형 해소 화재 취약계층 지원 화재예방 인식 개선 등을 주요 대책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면 단위 지역에 화재안전 취약지역이 집중되어 있어 중기적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재원을 확보하여 개선이 추진되고 있다
출동시간 분석 결과 시부보다 군부의 골든타임 내 도착률이 낮았으나 최근 군부의 개선으로 격차가 줄고 있으며 시부는 도로 혼잡 등으로 도착시간이 오히려 길어지는 추세이다 출동지연 원인에 따라 도로 접근성 개선 소방차 전용 우선 신호 시스템 도입 이면도로 최소화 등의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개선방안으로는 노후 전기시설 교체 화재감지기 설치 유아 대상 안전교육 의용소방대 참여 다가구 주택 흡연 화재 예방 홍보 등이 있으며 특히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주거환경 개선과 화재경보기 우선 지원이 강조된다 또한 논밭두렁 소각 금지 및 지정장소 신고제 전기적 요인 점검 축사 등 건축물 노후도 분석을 통한 사전 점검도 포함된다
청양논산 등 도착시간이 늦고 구조실적이 낮은 지역에 대해서는 출동체계 및 동선 검토 안전센터 위치 조정 소방장비 보급 행정복지센터 파견 운영 등의 대응방안이 수립되었으며 다양한 화재 원인별 대응을 위한 유관기관 간 공조체계 구축도 함께 추진되고 있다
화재사고 발생 시 예상 출동 소요시간은 평균 67분이며 골든타임 내 도착률은 태안청양보령논산 등 일부 지역에서 낮게 나타난다 안전센터별로는 천안서북 쌍용119안전센터가 가장 빠르고 태안 원북119안전센터가 가장 느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화재안전 취약요인 개선을 위해 충청남도는 하위 10 지역에 대한 집중관리 소방력의 지역 간 불균형 해소 화재 취약계층 지원 화재예방 인식 개선 등을 주요 대책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면 단위 지역에 화재안전 취약지역이 집중되어 있어 중기적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재원을 확보하여 개선이 추진되고 있다
출동시간 분석 결과 시부보다 군부의 골든타임 내 도착률이 낮았으나 최근 군부의 개선으로 격차가 줄고 있으며 시부는 도로 혼잡 등으로 도착시간이 오히려 길어지는 추세이다 출동지연 원인에 따라 도로 접근성 개선 소방차 전용 우선 신호 시스템 도입 이면도로 최소화 등의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개선방안으로는 노후 전기시설 교체 화재감지기 설치 유아 대상 안전교육 의용소방대 참여 다가구 주택 흡연 화재 예방 홍보 등이 있으며 특히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주거환경 개선과 화재경보기 우선 지원이 강조된다 또한 논밭두렁 소각 금지 및 지정장소 신고제 전기적 요인 점검 축사 등 건축물 노후도 분석을 통한 사전 점검도 포함된다
청양논산 등 도착시간이 늦고 구조실적이 낮은 지역에 대해서는 출동체계 및 동선 검토 안전센터 위치 조정 소방장비 보급 행정복지센터 파견 운영 등의 대응방안이 수립되었으며 다양한 화재 원인별 대응을 위한 유관기관 간 공조체계 구축도 함께 추진되고 있다
화재사고 발생 시 예상 출동 소요시간은 평균 67분이며 골든타임 내 도착률은 태안청양보령논산 등 일부 지역에서 낮게 나타난다 안전센터별로는 천안서북 쌍용119안전센터가 가장 빠르고 태안 원북119안전센터가 가장 느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목차
01 충남도 지역안전지수 화재분야 현황
02 화재사고 발생 시 예상 출동 소요시간
03 화재안전 분야 취약요인 개선방안
지역 출동지연 원인 해소방안
02 화재사고 발생 시 예상 출동 소요시간
03 화재안전 분야 취약요인 개선방안
지역 출동지연 원인 해소방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소연
2023년 열린충남 봄호 2023. 05. 09
2022년 충남연구원 연구성과발표회(CNI세미나 2022-101) 2022. 12. 20
충남정책지도 2022-08 충남 농지 소유주체의 공간 분포 2022. 09. 19
충남정책지도 2022-09 충남 농업경영체의 공간 분포 2022. 11. 21
(CNI 세미나 2023-25) 제4차 핵심정책 릴레이 세미나 2023. 04. 28
CNI세미나2023-024_보령시-충남연구원 정책워크숍 2023. 04. 19
-
조성
3세대 산업단지 조성방안 연구 2011. 07. 25
농촌지역의 전원주거단지 조성 실태 및 거주자 특성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2011. 01. 01
충남 농공단지 조성정책의 효과분석 2023. 02. 12
추후 공원녹지조성에 대한 조성 지침서 작성 2012. 03. 21
공주산성전통시장 내 쉼터 공간(미니수목원) 조성방안(안) 2012. 01. 30
- 정봉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