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청양구기자농업 기록화(아카이빙)를 위한 기초 조사 연구
현안

청양구기자농업 기록화(아카이빙)를 위한 기초 조사 연구

기간
2022. 04. 11 ~ 2022. 07. 31
연구책임자
유학열
키워드
청양구기자,전통농업,기록화,국가중요농업유산,박관용,재래종,전통지식,생태특성
다운로드

@@현안과제(청양구기자 기록)최종 수정 080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100년 이상의 재배 역사를 지닌 청양 구기자 농업의 역사적 농업유산적 가치를 기록화하여 전통 지식의 보존과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을 준비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청양은 기후토양 조건이 구기자 생육에 매우 적합하여 전국 최대의 구기자 주산지로 자리 잡았고 1923년 박관용 선생에 의해 본격적인 재배가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종자 개량 재배법 개발 건조법 창안 등을 통해 청양 구기자 농업의 기반을 마련했다
청양 구기자는 한약재로서의 효능과 독성 없는 식품으로서의 특성을 함께 지니며 청양 지역은 고품질 구기자 생산지로서 지리적 명성을 얻었다 구기자의 전통 재배 방법은 실생법 적심다수확 재배법 전정 병충해 방제 건조 관리 등으로 이어지며 일부 방식은 지금까지 계승되고 있다 특히 재배 적지 선정과 열매 건조 방식은 100년 이상 축적된 지역 전통지식으로 향후 체계적인 기록화가 필요한 항목이다
청양 구기자 산업은 1990년대 이후 가공시설 건립 농업협동조합 설립 품종 개량 등으로 성장했으며 구기자주는 무형문화재로 지정되는 등 지역 식문화와도 깊이 연관돼 있다 주민생계 측면에서도 높은 경제적 가치를 지니며 한때는 밭 한 필지 수익으로 다른 밭을 살 수 있을 정도로 수익성이 높았으며 현재도 단위면적당 수익성이 우수한 작물로 평가받는다
청양 구기자는 전통 한의학 및 민간요법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그 기록은 조선 후기 농서와 근현대 문헌에 다수 존재한다 또한 청양 구기자의 가치와 관련해 식문화 생활문화 경관 가치 등도 함께 기록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구기자를 활용한 음식과 약용법은 지역 고유의 전통으로 계승되어 왔다
본 연구는 향후 정밀 기록화 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문헌조사 구술채록 현장조사 사진영상 수집 등을 통해 구기자 농업의 역사 재배 기술 전통지식 품종 변천 경관 식문화 등을 종합적으로 아카이빙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화는 단순한 자료 축적을 넘어 지역 정체성 확립과 후속 농업정책의 기초가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청양 구기자 농업은 지역의 역사 생계 생태 전통문화와 밀접히 연결된 중요한 자산으로 이를 정밀하게 기록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작업은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은 물론 향후 지역농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데에도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

목차

1 연구 개요
2 청양구기자 농업의 개요
3 청양구기자 농업의 가치
4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