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본 연구는 충남 농촌마을의 과소화와 고령화에 따른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고자 충남형 농촌 리브투게더 정책모형을 구상한 것이다 기존 농촌마을 및 농가주택을 공간적으로 재구조화하여 이전 및 집적화하고 남겨진 공간은 스마트팜이나 뉴타운으로 활용하여 농촌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일본의 철퇴론과 농촌 재편 이론을 참고하여 마을의 기능 및 커뮤니티 유지 방안으로 기능적 행정적 공간적 재편 방향을 분석하였다
정책유형으로는 세 가지 방식을 제안하였다 첫째 마을공동생활형은 마을 내에 공동생활주거지를 조성해 주민 일부 또는 전부가 이주하는 방식으로 단독입주형과 공동입주형으로 구분된다 둘째 마을재편형은 기존 마을을 리모델링하거나 재개발하여 외부 인구를 유입시키고 커뮤니티를 재구성하는 방식이다 셋째 마을이전형은 인근 거점으로의 일부 또는 집단 이전을 통해 새로운 마을과 커뮤니티를 조성하는 방식으로 기존 공간은 농업 등 용도로 활용한다
정책 추진은 단계적으로 이뤄진다 1단계에서는 마을의 리모델링이나 이전을 통한 공간적 재편을 추진하고 2단계에서는 이전으로 남겨진 부지에 스마트팜이나 뉴타운을 조성한다 대상은 한계마을 등 과소화가 심각한 지역이며 정주계층과 중심성 낙후도를 고려해 다양한 유형으로 접근한다 마을 재편정책과 마을만들기 재생정책은 통합적으로 추진된다
주요 사업으로는 신규주택 및 공동시설 조성 빈집 정비 기반시설 확충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등이 있으며 사업비는 도비 70 시군비 30로 구성된다 입주세대는 무주택자나 노후지역 주민을 우선 선정하고 초기 임대 후 분양 전환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는 주민 참여와 자율성이 강조되며 집단 이전의 경우에도 주민의 자율적 동의와 커뮤니티 유지가 핵심 전제로 설정되어 있다
정책유형으로는 세 가지 방식을 제안하였다 첫째 마을공동생활형은 마을 내에 공동생활주거지를 조성해 주민 일부 또는 전부가 이주하는 방식으로 단독입주형과 공동입주형으로 구분된다 둘째 마을재편형은 기존 마을을 리모델링하거나 재개발하여 외부 인구를 유입시키고 커뮤니티를 재구성하는 방식이다 셋째 마을이전형은 인근 거점으로의 일부 또는 집단 이전을 통해 새로운 마을과 커뮤니티를 조성하는 방식으로 기존 공간은 농업 등 용도로 활용한다
정책 추진은 단계적으로 이뤄진다 1단계에서는 마을의 리모델링이나 이전을 통한 공간적 재편을 추진하고 2단계에서는 이전으로 남겨진 부지에 스마트팜이나 뉴타운을 조성한다 대상은 한계마을 등 과소화가 심각한 지역이며 정주계층과 중심성 낙후도를 고려해 다양한 유형으로 접근한다 마을 재편정책과 마을만들기 재생정책은 통합적으로 추진된다
주요 사업으로는 신규주택 및 공동시설 조성 빈집 정비 기반시설 확충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등이 있으며 사업비는 도비 70 시군비 30로 구성된다 입주세대는 무주택자나 노후지역 주민을 우선 선정하고 초기 임대 후 분양 전환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는 주민 참여와 자율성이 강조되며 집단 이전의 경우에도 주민의 자율적 동의와 커뮤니티 유지가 핵심 전제로 설정되어 있다
목차
제1장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장 이론적 고찰
제3장 농촌 리브투게더 정책유형안
마을공동생활형
마을재편형
마을 이전형
제4장 농촌 리브투게더 추진방안
기본방향
세부 추진방안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2장 이론적 고찰
제3장 농촌 리브투게더 정책유형안
마을공동생활형
마을재편형
마을 이전형
제4장 농촌 리브투게더 추진방안
기본방향
세부 추진방안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조영재
공주발전 대토론회(이소영,조영재,양광호) 2016. 04. 29
제 1회 한중 3농 포럼(조영재,탕빙위안,청야오) 2015. 09. 14
충남마을연구회 제1차 워크숍 - 충남 마을연구 사례 및 향후 연구과제(김필동,유보경,조영재) 2015. 04. 17
2011 행복 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 연구보고 및 제안대회 (여형범,오용준,조영재,임준홍,허남혁,신동호) 2011. 12. 13
열린충남43호 2008. 06. 01
열린충남48호 2009. 10.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