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내용
이 연구는 청년정착 방법론으로서 지금까지의 정책방법 즉 청년들의 니즈 즉 일자리 주거 등 외적 환경을 실현하는 방식이 아닌 청년들의 내적인 동기의 가능성과 전략을 탐색하였다 연구에서 내적 동기란 장소적 유대감에 따른 정주의지를 말한다 이러한 내적동기를 활성화하고 장소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기관으로서 대안교육기관대안학교과 인턴십 교육과정의 가능성을 탐색 및 확인하고 관련하여 전략과 과제를 도출하고 정책사업을 제안하였다
목차
제1장 연구목적
제2장 정책 및 선행연구
제3장 대안교육기관 현황 및 분석
제4장 사례분석
제5장 실태조사
제6장 정책제언 및 과제
제2장 정책 및 선행연구
제3장 대안교육기관 현황 및 분석
제4장 사례분석
제5장 실태조사
제6장 정책제언 및 과제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박춘섭
충남 사회기술혁신포럼 (김종선,박춘섭) 2016. 02. 04
한중 사회적경제 국제세미나(쉬자량,루용빈,유충식,송두범,박춘섭) 2016. 04. 20
2017 한.중 사회경제 발전 국제 심포지엄(CNI세미나2017-173)(송두범,위안뤼쥔,팡시,쉬진,정경록,쉬자량,박춘섭,한익수,타이펑픙,이홍택,우뤼,위주청,홍원표) 2017. 12. 05
사회적경제 일자리전문가 간담회 2016. 07. 12
2016 사회적경제 아카데미 평가 컨퍼런스 2016. 12. 27
열린충남 82호 (2018년봄호) 2018. 03. 12
-
목소리
연구원저서-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스무가지 목소리 2021. 04. 23
정부 간 관계 재정립에 따른 충남의 자치분권 전략과 과제 2022. 03. 01
우리술현장 연구회 2024. 02. 26
2차 사회적경제 포럼(CNI세미나2019-061) 2019. 07. 19
충청남도 주거복지센터 운영방향 연구 2022. 03. 01
(CNI세미나 2024-94)2024년 충남연구원 로컬크리에이션 연구회 2차 현지탐방&세미나 2024. 11.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