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충남은 국방대학교 이전 국방국가산업단지 조성 국방벤처센터 설립 등의 성과를 기반으로 2021년에는 국방산업 육성계획 2022년에는 국방산업 실행계획을 수립하였다 이와 함께 전력지원체계 중심의 국가 국방산단 조성을 추진 중이며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반영한 스마트 국방산업 전략이 제시되었다
글로벌 국방산업 동향 분석을 통해 미국 등 주요국은 신속획득체계와 국방기술 혁신기관 운영에 집중하고 있음이 소개되었다 국내에서는 방산발전법 제정 방산혁신클러스터 지정 국방 중소기업 육성 및 국산화 개발사업 확대 등 제도적 기반이 정비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력지원체계 산업은 전체 군수품의 96를 차지하고 있으나 중소기업 중심 수출 비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클러스터 사례로는 미국 텍사스의 방위항공우주 클러스터 실리콘와디이스라엘 경남 창원과 대전의 국방클러스터 등이 제시되었다 충남은 논산을 중심으로 전력지원체계 산업단지 조성을 계획하고 있으며 산업용지 확보 워리어플랫폼 테스트베드 구축 국방 ICT 기반 조성 등이 포함되었다 금산과 계룡 대전과의 연계 발전 구상도 병행되었다
충남 전력지원체계산업은 전국 군납 매출 기준 6위 수준이며 생산고용은 증가세이나 수출은 미미한 상황이다 경쟁력 분석에서는 가격과 기업 역량은 양호하나 기술 및 품질은 평균 이하로 평가되었다 실태조사에서는 국방산단 조성 및 국방산업 클러스터 육성 필요성에 대한 응답이 높았고 산학연군 협력 및 광역 클러스터 추진 필요성도 제시되었다
충남의 국방산업 발전전략은 총 4대 전략 20개 중점과제 39개 세부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부과제별 단중장기 추진계획과 소요 예산이 명시되었다 주요 사업에는 국방국가산단 조성 ICT 산업 기반 조성 군문화 MICE 산업 육성 국방기업 육성 전문인력 양성 등이 포함된다 2025년까지 매출 5천억 원 고용 500명 국방벤처 협약기업 100개사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목차
행사개요
세부일정
서론
충남 국방산업 육성과 미래과제
글로벌 및 국내 국방산업 동향
국방산업 클러스터 개념 및 국내외 사례
충남 전력지원체계 산업 현황 및 경쟁력
국방산업 실태조사 및 SWOT 분석
충남 국방산업 비전과 전략
중점 및 세부과제
예산 종합
기대효과
개발 구상논산 계룡 금산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백운성
민선5기 경제도정 운영방향 연구(백운성,임준홍,임형빈,신동호,김양중,고석철,임치영,이상호,양성준,전영노,황정현,이상철) 2010. 07. 26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세미나 (차두원,백운성) 2013. 04. 08
안전충남 2050 비전위원회 워크숍(CNI세미나2017-009) (백운성, 조민상, 이주호) 2017. 03. 10
ICT산업 정책동향과 충남의 정책방향(김상태,백운성,설영훈,이영훈,한무호,고석철,최영근,이명섭) 2014. 01. 09
충남경제학회 충청지회 창립총회 및 학술대회(CNI세미나2017-159)(김기희,백운성,설영훈 외) 2017. 12. 01
열린충남37호 2006. 12. 01
-
이관률
양봉산업 육성을 위한 한일정책세미나(카이 사토시,이관률,김종화,타무라 요시히로) 2014. 03. 11
예산군 지역순환형 농업발전전략을 위한 정책토론회(김수구,이관률) 2012. 03. 23
양봉산업육성을 위한 정책 간담회(이관률,김종화) 2014. 12. 29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금산 아토피치유마을 활성화 정책세미나_금산군 시군정책협력단(손창규,이관률) 2015. 12. 10
충남도 산림녹지분야 정책발굴을 위한 세미나(김통일,이관률,최영규) 2015. 11. 26
-
전수광
(CNI세미나 2024-50)충남연구원 우리술현장 연구회 충남 우리술의 특징과 발전과제 세미나 2024. 11. 15
내포신도시 홍예공원 민관협력형 관리운영모델 연구 2024. 07. 02
(해외출장보고서)공무국외 결과보고_백제문화(권) 관광거점 조성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 2023. 10. 21
2023년 열린충남 가을호 2023. 09. 01
충남정책지도 2022-7호 동서트레일과 충남의 활용 방안 2022. 08. 12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공공시설 입지관리 의사결정시스템 구축 연구 2023. 10. 05